심혈관질환(CVD) 치료에서 아스피린, 스타틴, 항고혈압제 등을 합친병합제(fixed-dose combinations; FDC)가 장기 복약순응도를 개선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 임페리얼컬리지 사이먼 톰(Simon Thom) 교수는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은 사람을 대상으로 한 병햡제군과 개별 약제복용군을 비교한 UMPIRE(Use of a Multidrug Pill In Reducing Cardiovascular Events)시험(무작위 비교시험) 결과를 JAMA에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15개월 후 복약순응도가 병합군에서 유의하게 개선됐으며 약간이지만 혈압과 지질이 개선됐다.

아스피린, 스타틴, 2종류 강압제 병합한 약제 사용

톰 교수는 2010~11년 인도와 유럽에서 심혈관질환 기왕력이나 심혈관질환 5년 위험이 15% 이상인 2,004명을 등록했다.

병합제군 1,002명과 개별약제군 1,002명으로 무작위 배정하고 시험 종료시 복약순응도, 주요 심혈관질환 위험인 수축기혈압(SBP), LDL 콜레스테롤(LDL-C)를 비교했다.

추적기간은 2012년 7월까지 12~24개월, 평균 15개월(12~18개월).

사용된 병합제는 2종류로 (1)아스피린 75mg, 심바스타틴 40mg, 리시노프릴 10mg, 아테놀롤 50mg(589명), (2)아스피린 75mg, 심바스타틴 40mg, 리시노프릴 10mg, 하이드로클로로사이아자이드(HTCZ) 12.5mg(413명) - 중 하나를 의사가 선택해 1일 1회 복용시켰다. 일반적 치료군에서는 이 약들을 개별적으로 복용시켰다.

1차 평가항목은 시험종료시 복약순응도(자가신고에 의한 병합제의 복용 또는 모든 개별 약제 복용), 시험초기 이후 SBP와 LDL-C의 변화로 정했다.

시험초기 양쪽 군의 배경 인자는 같았다. 88%는 심혈관질환 기왕력자였으며, 평균혈압 137/78mmHg, 평균 LDL-C 91.5mg/dL이었다.

1,233명(61.5%)이 항혈소판제와 스타틴, 2종류 이상의 강압제를 이미 복용하고 있었으며 727명(36%)은 복약순응도가 좋지 않았다.

시험종료시 복약순응도 병합제군 86%, 개별약제군 65%

분석결과, 시험종료시 복약순응도는 병합제군과 개별약제군 각각 86.3%과 64.7%(지속률은 77.7%과 8.5%)로 상대적 위험(RR)은 1.33이었다.

또한 시작 1개월 후 복약순응도는 각각 97.3%, 68.3%였으며 절대 차는 6개월 후까지 점차 줄어들다가 그 다음에는 일정했다.

복약순응도 정의를 시험종료시 병합제의 사용 또는 아스피린, 스타틴, 1종류의 강압제를 사용한 경우에도 병합제군이 일반약제군보다 유의하게 우수했다(90.8% 대 84.2%).

시험초기 복약순응도 불량하면 종료시 3배 이상 차이

병합군은 일반약제군에 비해 SBP, LDL-C가 유의하게 감소했지만, 시험초기 이후 종료시까지 변화의 평균차는 SBP-2.6mmHg, LDL-C -4.2mg/dL로 크지 않았다.

심혈관질환 기왕력과 고위험, 성별, 당뇨병, 흡연, 등록지역, 병합제 종류 등 미리 설정한 서브그룹별 분석에서도 병합제의 효과는 마찬가지였다.

특히 시험 초기 복약순응도가 좋지 않은 경우에는 시험 종료시 복약순응도가 77.4% 대 23.1%(상대위험 3.35)로 병합제군에서 3배 이상 좋았다.

특히 이 경우 병합제군은 일반약제군에 비해 SBP가 4.9mmHg, LDL-C가 6.7mg/dL 감소했다.

심혈관질환은 병합제군 50명(5%), 일반약제군 35명(3.5%)에서 발생했다. 상대적 위험은 1.45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사망, 혈관 및 비혈관사망에도 차이가 없었다.

톰 교수는 "이번 연구는 심혈관질환 기왕력자, 고위험자를 대상으로 항혈소판제, 스타틴, 강압제를 합친 병합제의 장기사용이 일반적인 요법에 비해 복약순응도가 우수하다는 사실을 보여준 최초의 무작위 비교시험"이라면서도 "심혈관질환 발병에 차이는 없는 이유는 증례수가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참가에 적극적이고 시험을 위해 통원할 수 있는 환자를 등록한 만큼 "일반인에 비해 복약순응도가 높았다"면서 "복약순응도가 낮은 경우 병합제 사용 전략 효과는 더욱 클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