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작스런 요의(尿意)를 느끼는 과민성 방광. 국내 성인 남성 10명 중 1명이 이러한 질환을 앓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비뇨기과·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는 29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여성의 유병률 14%와 별 차이가 없지만 치료율을 상대적으로 낮다고 밝혔다. 아울러 과민성 방광의 치료는 꾸준하지 않으면 재발률이 높은 만큼 만성질환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학회에 따르면 18세 이상 2천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남성에서 과민성 방광 유병률은40대가 12.9%, 50대가16.1%, 60대 이상에서는23.7%로 나타나, 60대 이상 과민성 방광 유병률이 40대에 비해 2배 가까이 높았다.
 
과민성 방광은 남자 비뇨기계 질환 가운데 잘 알려진 전립선비대증보다 삶의 질과 업무생산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과민성 방광 남성 환자의 우울증 동반률은 23.6%로 정상인 7.4%보다는 3배 이상 높고, 전립선 비대증11.5% 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업무에 영향을 주었다는 응답은 과민성 방광 남성의 경우 52.8%로 정상인 24.5% 보다 2배 이상, 전립선 비대증 환자 39.2%보다 약 1.4배 많았다.

또한 과민성 방광 때문에 이직, 조기 은퇴, 퇴사 당했다는 응답(4.5%)도 정상인(1.3%), 전립선 비대증(2.1%) 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이밖에 성생활 만족도는 전립선비대증환자보다 2배 이상 낮았다.

과민성 방광은 꾸준히 치료하면 증상 개선이 큰 질환이다. 과민성 방광 환자108명을 대상으로 약물 치료 효과를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치료 전 환자들의 하루 평균 배뇨 횟수는11.7회, 절박뇨 횟수는 8.2회, 절박성 요실금 횟수는 2.2회였지만, 치료 후에는 각각 8.3회, 2.2회, 0.1회로 줄어들었다.

하지만 실제 과민성 방광 환자 중 병원을 방문하는 경우는 환자의10명 중1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3개월 이상 치료하는 비율은 10명 중 4명 이하로 치료 지속률은 더 저조한 것으로 지적됐다.

치료 지속률은 첫번째 치료 후 꾸준히 감소했으며 치료 1개월에는 100%, 2개월에는 90%, 3개월 째에는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40%의 환자만이 치료를 지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규성 회장은 "과민성 방광을 전립선 비대증으로 착각하는 남성들이 의외로 많다"면서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전립선 비대증보다 과민성 방광으로 인한 삶의 질 저하가 큰 만큼 관련 증상이 있을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의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