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관절센터 김태균·장종범 교수팀은 국내 노인인구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무릎 퇴행성 관절염의 엑스레이(X-ray) 진단 정도와 실제로 환자가 느끼는 증상이 남성과 여성환자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고 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CORR) 특별호에 발표했다.

김 교수팀은 성남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660명(남성 292명, 여성 368명)을 대상으로 무릎 관절을 진단하는 엑스레이 사진을 촬영 후 나타난 관절염의 정도와 실제 증상과의 연관성을 성별로 나누어 분석했다.

엑스레이 결과는 심한 정도에 따라 정상관절, 미미한 관절염, 경도의 관절염, 중등도 관절염, 그리고 심한 관절염 등 5단계로 분류했다. 환자가 실제로 느끼는 증상 및 기능장애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임상 척도인 WOMAC지수와 SF-36지수 등을 사용해 평가했다.

660명 엑스레이 사진을 분석한 결과, 남·녀 모두에서 경도의 관절염에서 중증도의 관절염으로 이행될 때 실제로 환자들이 느끼는 임상 증상의 악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엑스레이 사진상 중등도에서 마지막 단계인 심한 관절염으로 진행될 때에는 여성에서는 아픔을 더 많이 호소했지만, 남성에서는 증상의 악화가 뚜렷이 발견되지 않았다.

증상의 악화가 심해지는 중등도 이상의 퇴행성 관절염이 여성(38.4%)이 남성(10.4%) 보다 약 3.7배 더 많았다.

엑스레이 사진상에서 비슷한 정도의 관절염을 앓을시에도 남성에 비해 여성이 통증이나 기능 장애를 더 심하게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일반적으로 서양에서도 남성에 비해 여성이 무릎의 퇴행성 관절염이 좀 더 호발하고 증상도 좀 더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이런 현상이 매우 심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하고 “국내 남녀간 차이는 해부학적 구조의 차이, 무릎 관절에 무리가 가는 쪼그려 앉는 재래식 부엌의 사용 등의 생활 습관, 그리고 무릎 주변의 근력의 차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