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 - 지금까지는 어머니의 정신적 문제가 아이에게 많은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아버지의 문제도 버금갈만큼 중요하다. 옥스포드대학(옥스포드) 정신의학 폴 람찬다니(Paul Ramchandani), 람프리니 사이코지오(Lamprini Psychogiou) 박사는 이 문제에 관한 총설을 Lancet에 발표했다.
 
자녀 위험 2배 이상

자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어머니에게 초점이 맞춰지기 쉬운 이유는 몇가지 있다. 대부분의 사회에서 자녀와 많이 이야기를 나누는 상대가 어머니이고 자녀의 초기 성장과 사회화에 담당하는 역할은 아버지보다 크기 때문이다.

한편 아버지의 역할은 종종 무시돼 왔다. 그러나 여러 나라와 문화에서 아버지는 자녀와의 대화에 적극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생각해 왔던 것 이상으로 자녀의 성장에 영향을 주고 있다.

남성과 여성에서는 정신장애의 분포가 다르지만 남성의 경우 대부분의 정신장애 발병 피크는 18~35세에 나타난다. 이는 자녀양육 시기에 해당한다.

남성의 우울증 유병률은 3~6%이고 여성의 약 2분의 1이다. 태어난지 8주째에 아버지가 우울증에 걸린 경우 자녀의 행동 및 감성문제의 발생률이 10%에서 약 20%로 증가한다는 사실도 밝혀져 있다.

또 우울증 아버지의 자녀에서는 사춘기에 도달하면 우울증이나 자살행동 등 다양한 정신적 문제 위험이 높아진다고 한다.

또 남성의 약 2%는 전반성 불안장애를 갖지만 부모에게 불안장애가 있으면 그 자녀에게도 같은 장애 발병 위험이 2배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부모가 양극성장애를 가졌다면 그 자녀는 정신적으로 건강한 부모의 자녀에 비해 양극성장애 발병 위험이 10배, 기타 정신질환 발병 위험도 3~4배 높다.

이밖에 부모의 알코올 남용률은 4~14%, 약물남용률은 1~5%이지만 부모의 알코올 의존도와 자녀의 행동장애, 약물남용 및 의존 위험 증가 사이에 관련성이 복수의 연구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아버지가 환자인 경우에는 딸보다 아들에서 위험이 높아질 가능성도 지적되고 있다.

또 부모의 알코올 의존도는 사춘기에 기분장애와 우울증상 위험의 상승, 학업부진, 자신감 부족, 인간관계 곤란과도 관련한다.

램찬다니 박사팀은 예를들면 친구 사귀기가 어려운 성격의 자녀가 정신장애 위험을 높이는 등 자녀에서 부모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고찰하고 있지만 질환의 영향은 주로 부모에서 자녀쪽으로 가는 경향이 높다. 이는 어머니의 우울증 개선이 자녀의 정신보건을 개선시킨다는 증거와도 일치한다.

부모의 정신장애에는 유전인자와 환경인자가 조합돼 기여하고 있다. 부모의 장애는 자녀의 환경에 영향을 준다. 예를들면 아버지가 직장을 잃으면 사회경제적 곤란 때문에 자녀의 정신장애 발병 위험을 높일 가능성이 있다. 우울증을 가진 부모의 장애가 가정불화 위험을 높이고 그 경험이 자녀의 문제행동 위험을 높일 가능성이 있다.

아버지의 우울증이 미치는 영향은 특히 성장 초기에는 여아보다 남아가 쉽게 받는다. 마찬가지로 알코올 의존성을 가진 아버지를 둔 남아에서는 행동장애, 비행, 약물남용 위험이 높다. 자녀가 반항적이면 부모 모두 불안과 우울증 위험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또 어머니가 우울증을 앓고 있다면 그 자녀는 집이 가난할 경우 우울증 발병 위험이 더욱 높아진다.

람찬다니 박사팀은 향후 필요한 연구로서 (1)아버지의 정신장애와 자녀의 발달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아버지를 대상으로 한 연구 (2)아버지의 정신장애가 가족과 자녀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 (3)부부 중 한쪽이 정신장애가 있는 경우 이것이 파트너 또는 부부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는 연구 (4)위험이나 질환 발병에 미치는 영향이 유사한 경우와 다른 경우를 분명하게 하기 위한 국제적·다문화 연구-를 들었다.

박사팀은 “최근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정신장애는 어머니의 정신장애와는 별도로 자녀에게 유해했다. 또 일부 자녀에서는 아버지의 장애가 초래할 위험의 패턴은 어머니의 것과는 다르며 남아가 잠재적으로 아버지에 의한 영향을 받기 쉽다. 아버지의 정신보건에 따라 좀더 주의하는 것은 아버지 자신의 이익이 될 뿐 아니라 자녀의 생활을 개선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결론내렸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