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텍사스주 댈라스】 미국심장병학회(ACC)와 미국 심장협회(AHA)의 공동으로 발표한 가이드라인 2007년 ‘비심질환수술을 위한 주술기에서의 심혈관 관찰과 처치’가 갱신돼 Circulation (2007; 116: e418-e499)에 발표됐다.

이에 따르면 심질환자는 심질환 사고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심질환 수술 외에 어떤 수술이든 시행 전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지만, 중증 심질환이 아닐 경우 비심질환수술 전에는 심질환치료가 불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응급이면 심장검사 안해도

이번 가이드라인은 2002년판을 개정한 것으로 비심질환 수술의 주술기에서 심질환 사고위험을 고려할 때 골격이 된다.

이번 추천에 의하면 환자는 수술 전에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이상지혈증 치료제 복용을 중지해서는 안된다.

또한 대다수의 심질환자에는 동맥절개술이나 관상동맥 우회로술 등의 심질환 치료를 하지 않아도 안전하게 비심질환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이번 가이드라인은 비심질환수술 전에 심장에 대한 처치가 필요해 관상동맥 스텐트를 이용하거나 항응고제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 대한 최선의 치료법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가이드라인 작성위원회 위원장인 펜실베이니아대학 마취학·응급치료 리 플레이셔(Lee A. Fleisher) 교수는 “이전에는 분명하지 않았던 에비던스에 의존해야 했지만 현재는 최선의 처치를 보여주는 연구가 다수 발표돼 있다. 스타틴 투여는 지난번 가이드라인에서는 언급조차되지 않았지만 새로운 시험을 통해 지속적으로 투여해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했다.

긴급을 요하지 않거나 선택적인 수기의 경우, 우회로술이나 혈관성형술은 수술 위험을 낮추는 효과를 얻기 어렵다. 만약 비심질환 수술이 시급하다면 심장검사없이 수술실로 직행해야 마땅하다.

또한 가이드라인은 환자가 진행성 심질환, 즉 중증 협심증, 비대상성심부전, 중증 부정맥 또는 중증 심장판막증 등이 있는 경우에만 비심질환 수술 전에 평가나 치료를 해야 한다고 말한다.

플라이셔 교수는 “이전에는 수술하기 전에 심질환 정도를 확인하는 진단검사를 하는게 대부분이었다. 많은 스크리닝을 통해 심질환을 치료하여 비심질환 수술을 대비했다. 그러나 현재 수술 결과는 처음에 심질환을 치료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대부분 같다고 판명됐다”고 말한다.

수술 결과는 같아

심장에 대한 처치가 수술 위험을 낮춰주는지 여부는 당장의 수술과는 상관없이 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심질환이 중증인지 그리고 증후성인지에 달려있다.

교수는 “일부 시험결과, 증후성 심질환이 아니면 심장 처치는 수술 결과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명됐다”고 지적했다.

외과적 치료법의 차이만으로 심장 처치의 시행 여부를 결정해선 안된다.

스텐트를 이용해 혈관성형술을 하면 주술기 심장에 대한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심장 발작의 위험은 스텐트 삽입 후 4∼6주에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에 이 기간 중에 항응고제를 처방한다.

이 위험과 항응고요법의 기간은 약물코팅 스텐트나 약제방출 스텐트를 이용하는 환자의 경우, 최대 1년간이다.

어떠한 수술도 어느정도는 출혈 위험이 있기 때문에 환자는 수술 전에 항응고제 복용을 중단해선 안된다는 지시를 받아 왔다. 교수는 “스텐트 삽입 후 항혈소판제 투여는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중단 기간이 짧을수록 좋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표는 비수술 경우와 같아

긴급을 요하지 않거나 선택적인 비심질환 수술이 필요하고, 우선 동맥절개술을 해야 하는 환자에는 베어메탈 스텐트를 이용해 혈관성형술을 한 다음 4∼6주간 항응고요법하도록 추천하고 있다.

약제방출 관상동맥 스텐트를 이미 이용했고 응급을 요하는 비심질환 수술을 하기 위해 항응고제 투여를 중단해야 하는 환자에게는 가능한한 아스피린 요법을 계속하고 되도록 빨리 처방제 투여를 재개해야 한다고 말한다.

또 2개 이상의 혈관 폐색, 불안정협심증, 심근경색 증상 등의 중증 또는 증후성 심질환자에는 비심질환 수술 전에 관상동맥 우회로 이식이나 혈관성형술을 추천하고 있다.

가이드라인에서는 일반적으로 새로운 심질환의 검사와 치료하는 지표는 비수술의 경우와 같지만 이 시기는 몇가지 요소에 의존한다.

이들 요소에는 비심질환 수술의 응급성, 환자 특유의 위험인자, 수술 종류(위험이 높은지 낮은지)를 들 수 있다. 수술 전 검사는 그 결과가 환자 치료에 영향을 줄 경우에만 하도록 한정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