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베데스다】 아기가 태어나면 폐동맥으로 박출(拍出)된 혈액 대부분이 폐로 가지 않고 이 동맥관을 통해 직접 대동맥에 들어가게 되는데, 출생과 동시에 폐호흡이 시작되면서 혈액이 폐로 가게 되므로 동맥관이 필요없어지게 된다.

그러나 태아기에 혈류가 폐에 머물지 않게 하는 동맥관이 출생 후에도 폐쇄되지 않아 사춘기에 들어서 얼굴이 창백해지고 신장이나 체중의 증가가 늦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를 동맥관개존증(Patent Ductus Arteriosus, PDA)이라고 부른다

컬럼비아대학 Robert H. Pass 박사는 이 동맥관개존증을 치료하는 Amplatzer Ductal Occluder (ADO)라는 폐쇄 마개의 역대 최대 규모시험을 실시한 결과 “거의 모든 대상자에서 폐쇄에 성공했다”고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2004;44:513-519)에 발표했다.

ADO는 연구팀의 일원인 시카고대학 Ziyad Hijazi박사가 고문으로 있는 AGA Medical Corporation이 제조하고 있다.

직경 큰 개존폐색에 유리

Pass박사는 “ADO가 보급되면 대부분의 PDA환자에 PDA폐쇄법을 시행·실시할 수 있어 수술할 필요가 없어질 것”이라고 설명한다.

태아의 발달기에는 폐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하행대동맥과 폐동맥 사이에 있는 동맥관이 출혈을 단락한다.

이 동맥관이 출생 후에도 완전히 폐쇄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PDA환자는 세균감염이나 심부전, 폐혈관질환, 폐고혈압 위험이 증가한다.

외과적으로 동맥관을 폐쇄시킬 수는 있지만 좀더 침습도가 낮은 대체법으로 카테터를 삽입·유치하여 동맥관을 막을 수 있는 디바이스가 개발됐다.

이러한 디바이스 종류에는 코일 등이 있는데, 이 코일을 이용하여 주변 혈액을 응고시켜 동맥관을 폐쇄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코일은 사용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고 개존이 큰 경우에는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박사는 “추적관찰 1년째에 ADO를 삽입한 PDA환자의 99%에서 효과가 나타났다.

이중 70명이상이 4mm를 넘는 큰 직경의 PDA라는 사실을 고려하면 ADO가 코일보다 장점이 많은 것은 확실하다”고 설명한다.

합병증 거의 없어

지금까지의 ADO 시험은 피험자수가 비교적 적었다.

반면 이번 시험은 1999년 9월~2002년 6월에 미국내 25개 시설 48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규모가 크다.

ADO의 유치 후보로 적합한 환자를 시험참가 시설의 순환기과의사가 치험담당의사와 상담하여 선택했다.

피험자의 연령은 생후 2개월부터 70세이상까지 넓다(평균연령은 2세 미만). 전체 환자의 약 9%는 동맥관의 개존이 너무 작거나 폐혈관저항이 높아 디바이스를 적용하지 않았다.

나머지 439명 중 435명에서 ADO의 유치에 성공했다. 대조군은 두지 않았다.

Pass박사는 “이번 프로젝트에서 합병증은 거의 없었다. 2명에서 디바이스 색전을 일으켰고 그 중 1명은 ADO를 외과적으로 제거해야 했다. 또 2명에게 중등도의 좌측폐동맥 폐색을 일으켰다”고 말하고 좀더 연구해야 할 부분임을 인정했다.

디바이스 색전이란 디바이스가 치료부위의 동맥관에서 어긋나는 현상을 말한다.

무대조시험이지만 조만간 승인예정

이 시험에서는 ADO와 다른 디바이스 또는 비교적 드문 선택지가 된 수술과 직접 비교하지는 않았다.

Pass박사는 “이 시험에서의 문제는 무작위화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피험자는 시험참가 시설의 순환기과의사가 치험담당 의사와 상담하여 선택했다. 이 디바이스와 다른 디바이스의 직접 비교는 하지 않았지만, ADO만큼 적응범위가 넓은 PDA디바이스는 없다”고 설명한다.

이번 연구에는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UCSF(캘리포니아대학 샌프란시스코) Phililp Moore박사는 “PDA는 가장 잘 나타나는 소아의 선천성 심질환의 일종이다. 개존하는 동맥관의 외과적 수복은 50년 전부터 실시돼 왔지만, 보다 저침습으로 치료할 수 있는 카테터 디바이스는 1990년대 들어서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보고는 동맥관의 폐색에 특화시켜 설계된 디바이스를 조사한 미국내 최초의 다시설시험이다. 이를 통해 미국에서의 PDA폐쇄 디바이스의 승인이나 일반사용이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 시험에서 다른 방법과의 직접 비교를 실시하지 않았다는 점에 대해 “연간 증례수가 많지 않고 무작위화 비교시험에 비용과 기간을 투자할 만큼의 이유가 있다고는 말하기 어렵다”며 “현 상황에서는 이 특정 디바이스의 유용성을 그 위험과 문제점과 함께 조사하는데 아마도 가장 우수한 시험”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