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밀도 검사치 T값이 -2.5 이하면 골다공증으로 진단된다. 뼈의 강도가 약해져서 골절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치료 후 T값이 개선돼도 골다공증으로 판단하는 경우도 있다. 골절위험과 재발가능성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골다공증 지속 치료가 사회경제적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대한골대사학회(회장 김낙성∙이사장 백기현)는 골다공증 치료 지속 여부에 따른 생애 골절 발생률 및 의료 비용을 추정 비교한 결과, T값이 -2.5에 도달 후에도 치료를 지속할 경우 7,100억원의 사회경제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근골격질환 분야 국제학술지(BMC Musculoskeletal Disorder)에 발표했다.

백 이사장에 따르면 지난 20년 간 국내 골다공증 골절 발생 건수는 4배 이상 크게 증가했으며, 골절 환자의 약 30%는 4년 내 재골절을 겪는 등 재발 위험이 크다.

이번 연구 대상자는 T값 -2.5이하로 골다공증 진단 후 RANKL 표적치료제를 사용한 55세 환자. 

이들을 T값 -2.5에 도달 후 치료를 중단한 군과 -2.0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한 군으로 나누고 골절 발생수와  직접 의료 및 사회적 비용을 비교했다.

그 결과, 치료중단군에 비해 치료지속군에서는 46.64건의 골절 예방효과가 나타났다(환자 100명 당 척추골절 34.21건, 비척추골절은 12.43건). 생애 골절발생 예상건수도 치료지속군에서 2배 낮았다(100명 당 54.01건 대 100.65건).

약값과 치료비 등 직접 의료비 절감 효과도 치료지속군에서 약 3배 높았다(환자 1명 당 72만원 대 207만원). 여기에 골다공증으로 인한 생산성 손실까지 더할 경우 치료지속군의 환자 1명 당 비용절감비용은 2,900만원에 이른다.

이를 토대로 연구에 포함된 약 52만 명의 골다공증 환자가 치료를 지속한다고 가정하면 총 7,098억 원의 직·간접적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셈이다.

나아가 국내 골다공증환자 약 118만명에 대입할 경우 골다공증 지속치료로 1조원 이상의 사회경제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백기현 이사장은 "골다공증 골절은 심각한 후유증을 동반하고 긴 치료 기간을 요하는 만큼 직접 치료비와 가족 간병비 등 간접적인 사회 경제적 부담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지속 치료를 통한 골절 발생 감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이번 연구는 2025년 초고령사회 진입까지 1년이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골다공증 치료 지속 여부에 따른 경제적 효과와 사회적 혜택에 대한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