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금니와 송곳니, 앞니 등 치아는 부위마다 고유의 역할이 있다. 음식을 잘게 부수는 저작기능이 핵심인 어금니가 빠지면 정상적인 식사가 힘들어 진다.

빠진 어금니를 방치하면 씹는데 불편함이 따르는 것이 당연하다. 씹어서 먹어야 하는 음식 대신 한정된 범위 내에서 음식물 섭취가 이뤄지다보면 영양불균형은 물론, 소화불량으로 이어질 수 있다.

고르다치과의원 잠실점 남동희 원장[사진]에 따르면 소실된 어금니 치아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자연치아의 저작력을 대체할 수 있는 보철치료가 필요하다. 

이 가운데 어금니 임플란트가 대표적이다. 남 원장은 "소실된 치아 빈공간 잇몸뼈에 치아뿌리 역할을 하는 티타늄 소재의 인공치근을 식립 후 치아모양의 보철물을 연결시키는 과정으로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강한 힘을 받는 부위인 만큼 단단한 보철물 소재가 팔요하다. 음식 저작에 무리가 없고, 위아랫니 교합이 정확해야 제대로 기능할 수 있다.

위어금니와 광대 사이에는 상악동이 존재하기 때문에 위턱 어금니는 식립이 까다롭다. 남 원장에 따르면 상악동은 개인마다 크기와 모양이 다르다. 상악동과 잇몸뼈 사이에 임플란트를 심을 만큼 뼈가 남지 않았을 땐 상악동 점막을 위로 들어올린 후 잇몸뼈를 채워주는 상악동거상술이 선행돼야 한다.

아래쪽 어금니 또한 크고 작은 신경이 밀집돼 있어, 신경을 건드리지 않도록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남 원장은 "식립 각도와 신경 위치 등은 3D 진단 장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숙련된 의료진의 판단이 치료 성과를 좌우한다"고 말했다.

어금니 임플란트는 자연치아 기능을 온전히 대신해야 하는 만큼 보철물(크라운)을 잘 선택해야 한다. 어금니 보철물로는 골드, PFM, 지르코니아 크라운 등이 있다. 과거에는 저작력만을 고려하는 경향이 강했지만, 최근에는 심미적인 요구가 높아져 금이나 금속색에 대한 선호도가 감소하는 추세이다.

금속을 깔고 도자기를 입히는 보철물인 PFM은 어금니에 적용할 경우 씹는 힘 때문에 깨질 가능성이 높다. 지르코니아는 치아색과 유사해 심미성이 우수하고 강도가 적절해 어금니뿐 아니라 전치부에 사용하기에도 적합하다. 남 원장은 "각 보철물의 장단점을 비교해 자신에게 알맞은 보철물을 선택해야 치료 효과 및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강한 저작 활동이 많은 어금니 특성상 임플란트 파절 발생률도 높다. 위, 아래 어금니 위치에 따라서도 치료 계획이 달라지기 때문에 풍부한 임상 경험을 갖춘 의료진을 통해 적합한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남 원장은 조언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