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은 체온과 면역력이 쉽게 떨어지기 때문에 각종 바이러스에 노출될 위험이 높다.

특히 면역력이 급격히 낮아지면 격한 통증을 유발하는 대상포진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상포진 발생 원인은 어릴 적 걸렸던 수두와 동일한 바이러스다. 수두 바이러스는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몸속의 신경절에 잠복해 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지면 재활동한다. 

신경을 따라 상처를 일으키고, 피부에 띠 모양의 수포를 형성한다. 목과 어깨, 가슴, 등, 엉덩이, 허벅지, 얼굴 등에 주로 나타나지만 신경절이 분포된 곳이면 어디든 발생한다.

초기에는 뻐근함과 통증, 권태감 및 발열, 오한 등의 감기몸살 증상과 유사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피부에 물집이 잡히며, 통증이 심해진다.

내 살이 아닌 듯한 느낌, 둔감한 느낌, 날카롭게 뭔가가 찌르는 듯한 느낌 등 다양한 감각 장애와 더불어 신경통증이 나타난다.

피부 물집도 발생한다.  2~4주 이내에 고름이 차며, 딱지로 변해 사라진다. 초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대상포진 바이러스로 손상된 신경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한다. 

비정상적인 통증 신호를 뇌로 보내 통증이 지속되는 대상포진 후 신경통으로 진행될 수 있다.

동천마취통증의학과(면목동) 이동주 대표원장[사진]에 따르면 대상포진 후 신경통은 일반 대상포진 보다 통증이 강하며, 심지어 암과 출산의 고통보다 심한 경우도 있다.

이 원장은 "대상포진은 최대한 일찍 치료해 대상포진 후 신경통의 이행을 막아야 한다"면서 "의심 증상이 나타난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찾아 초기에 관리받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발진과 물집 등의 피부 증상이 발생한지 최소 72시간 내 항바이러스제를 투약여해야 높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적절한 시기에 치료받으면 대략 1~2개월 후 대부분의 증상은 사라진다.

다만 항바이러스를 투약한 후에도 통증이 지속되거나 대상포진 후 신경통 고위험군(50대 이상의 중년층 이상)에 해당하면 조기에 신경치료를 병행해야 한다.

대상포진의 통증 부위와 증상은 발생한 신경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신경치료 효과를 높이려면 피부 병변과 통증 부위 별로 신경을 진단하고, 해당 신경근을 치료하는 게 핵심이다.

근본적인 해결은 평소 면역력을 높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균형 잡힌 식단과 더불어 적절한 운동을 통해 체력 관리, 과음과 흡연은 피하는 생활습관이 필요하다.

50세 이상이라면 대상포진 예방접종도 필요하다. 예방접종은 대상포진 발생 가능성을 50% 이상 억제하고, 합병증 발생 가능성을 낮춘다고 이 원장은 말한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