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장기간 사용하면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이 체내에 축적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고대 보건융합과학부 최윤형 교수와 고대안암병원 안과 김동현 교수는 콘택트렌즈와 과불화화합물 노출의 관련성을 분석해 환경과학 분야 국제학술지(Chemosphere)에 발표했다.

과불화화합물(Per- and Poly Fluoroalkyl Substances, PFAS)은 아웃도어 의류, 식품 포장재, 종이빨대, 프라이팬, 화장품 등에 사용되는 방수코팅제 물질군이다. 

지속 노출시 몸속에 축적돼 갑상선질환, 고콜레스테롤혈증, 임신고혈압, 신장암, 정소암, 당뇨병 등의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잘 분해되지 않고 환경과 생체 내 장기간 남는 특성이 있어 사라지지 않는 화학물질(forever chemicals)이라고도 불린다. 현재 산업계에서 사용되는 PFAS의 종류만 수천개에 이르며 현재도 계속 개발되고 있다.

최근 미국소비자단체(Mamavation)가 콘택트렌즈에서 과불화화합물로 추정되는 유기 불소가 검출됐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이번 연구 대상자는 미국민건강영양조사(NHANES) 자료(1999~2008년)에서 선별한 콘택트렌즈 최다 사용 연령대인 20~39세 7,270명.

이들을 콘택트렌즈 사용군와 비사용군으로 나누고 혈중 과불화화합물의 체내 축적량을 비교했다. 그 결과, 사용자군에서 1.2배 높게 나타났다.

특히 노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교란인자를 통계적으로 제거하고 관찰하자 과불화화합물 가운데 PFOA와 PFHxS, PFOS 검출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PFOA 노출로 건강에 위협을 받는 인구 비율은 사용군에서 더 높고(4.5% 대 3.9%), PFOA 체내 수치가 낮은 인구 비율도 사용자군에서 높은 것으로(16% 대 6%) 추정됐다.

이번 연구에 대해 김동현 교수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에 의해 과불화화합물이 전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규명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최윤형 교수는 "콘택트렌즈는 일반생활용품과 달리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이 없는 만큼 소비자가 과불화화합물의 위험정보를 알아도 안전한 제품을 선택할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의료기기는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환경유해물질의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