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코로나19 대유행 당시 치매환자의 사망률이 증가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원인은 인간관계와 의료, 간호 등 사회자원의 부족이었다.

일본 지치의대 연구팀은 치매환자를 포함한 자국의 신경질환자 384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유행 전후의 사망률 변화를 검토해 신경과학 분야 국제학술지(Journal of the Neurological Sciences)에 발표했다.

연구 대상자는 코로나19 유행 전(199명, 2016년 12월 1일~18년 11월 30일 등록, 2019년 11월 30일까지 추적)과 유행 후(185명, 2019년 12월 1일~21년 11월 30일에 등록, 22년 11월 30일까지 추적)로 나누고 1~3년 추적기간 중 사망률과 인지기능을 검토했다. 

인지기능 평가에는 치매선별검사인 MMSE와 HDS-R를 이용한 결과, 사망률은 유행 후가 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18.5% 대 5.3%). 추적 1년째 인지기능은 유행 전보다 후에 유의하게 낮았다(MMSE 19.9점 대 16.1점, HDS-R 17.0점  대 13.6점. 30점 만점의 평균치).

시험초기 양쪽군의 특성과 추적기간은 비슷했다. 또한 치매 이외 신경질환자에서는 사망률, 인지기능 모두 유의차는 없었다.

연구팀은 이같은 결과에 근거해 "사회자원이 부족해지는 코로나19 유행기에 치매환자의 경과에 나쁜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결론내렸다.

그러면서 "특정한 요인이 아니라 치매환자의 생존기간 연장과 고차원뇌기능유지에는 사회적 인간관계 및 의료, 간호를 비롯한 사회자원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