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가 들수록 잇몸은 약해지고 치아는 통증과 함께 흔들리는 경우도 많아진다.  치아에 문제가 생기면음식을 씹거나 발음은 물론 평범한 일상생활도 어려워질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은 특별한 통증이 없으면 좀처럼 치과에 가지 않는다. 아프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질거라는 생각에 방치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하지만 문제가 발생한 치아를 방치하면 호미로 막을 일을 가래로 막아야 하는 일이 벌어질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치아는 자체 회복 능력이 없기 때문에 초기에 바로 잡지 않으면 회복 불가능한 손상은 물론 영구치가 빠져버릴 수도 있다. 

치아가 빠졌을 때 대체 수단은 틀니, 브릿지, 임플란트다. 잇몸에 인공치아를 심는 임플란트는 틀니와 브릿지의 단점을 보완하며 대신할 수 있는 보철물로 최근들어 찾는 이들이 많아졌다. 

임플란트는 틀니보다 저작력과 심미성이 높은데다, 외관도 자연 치아에 더 유사하다. 하지만 잇몸의 뼈가 부족하나 상태가 좋지 않으면 임플란트가 불가능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뼈이식 임플란트를 고려해볼 수 있다. 

고르다치과의원(잠실점) 최재용 원장[사진]에 따르면 잇몸뼈가 부족한 상태에서 임플란트를 하려면 인공치근을 식립할 잇몸 상태를 만들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뼈이식은 필수다.

잇몸뼈가 부족한 상태에서 인공 치근을 심으면 불안정해질 뿐만 아니라 재수술 가능성도 높아진다.

최 원장에 따르면 잇몸뼈는 치아가 빠진 후 6개월 이상 방치되면서 점차 없어지기 시작한다. 잇몸 질환이 심한 경우에도 잇몸 뼈가 녹아내릴 수 있다.  부실한 구강 관리로 염증 등이 발생해 잇몸뼈에 문제가 생긴 경우에도 뼈이식이 필요하다.

뼈이식에서 자가골부터 타인이 기증한 동종골, 동물의 뼈를 이용하는 이종골, 인공적으로 합성한 합성골 등이 있다.

자가골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최 원장에 따르면자가골은 채취할 수 있는 양이 제한적이고 추가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반면에 이종골은 화학적 소독처리를 통해 거부반응이나 감염의 위험성을 낮추고, 골형성력으로 임플란트의 기대 수명을 높일 수 있다. 

최 원장은 "골 이식재가 그대로 붙어 내 뼈의 일부가 되는 것은 아니고 내 몸의 세포들이 이식재를 흡수하며 다시 내 뼈를 채우는 과정을 거친다"면서 "보다 합리적인 치료를 원한다면 이종골을 이용한 뼈이식을 계획해볼 수 있다"고 설명한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