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퇴근 시간이 길수록 우울증 유발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인하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이동욱 교수 연구팀은 근로환경조사 데이터로 출퇴근 시간과 우울증의 관련성을 분석해 교통보건학회지(Journal of Transport and Health)에 발표했다.

연구 대상자는 20~59세 근로자 2만 3,415명. 이들의 성과 나이, 학력, 지역, 혼인, 자녀유무, 직업, 주당근무시간, 교대근무 여부 등을 고려해 출퇴근 시간 별로 분석했다.

그 결과, 출퇴근 시간이 60분 이상 소요되는 사람이 30분 미만인 사람에 비해 우울증 증상을 보일 가능성이 16%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출퇴근 자체가 심리적·육체적 스트레스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시간적 여유를 뺏어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시간적 여유가 부족하면 수면과 취미활동 등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육체 피로를 회복할 시간이 부족해지기 때문이다.

출퇴근시간과 우울증의 관련성을 성별로 보면 남성의 경우 미혼, 자녀가 없는 경우, 장시간 근로가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은 다자녀(2명 이상), 교대근무에서 두드러졌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여성이 가정의 주양육자 역할을 맡고 있어 긴 출퇴근 시간이 건강에 긍정적인 활용 가능시간을 제약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한국에서는 출퇴근 시간이 길수록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일과 가정이 균형있게 양립하기 위해서는 장시간의 출퇴근 시간을 줄이는 노력도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