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에 가해지는 하중은 평소 체중의 2~3배 정도에 달한다. 사용 빈도가 많아 타 부위 보다 노화 속도가 빠른 편이다. 

관절 속에는 원활한 움직임을 도와주고 충격을 흡수하는 연골이 들어있다. 다만 노화나 외부 충격을 반복해서 받으면 퇴행성 변화로 마모될 수 있다.

퇴행성 변화의 대표 질환은 퇴행성관절염이며 주 원인은 노화다. 노인 인구의 급증으로 환자 수도 그만큼 크게 늘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퇴행성 관절염 진료 환자는 417만여 명이며, 약 80%가 60대 이상이다. 

중~노년층 비율이 여전히 높지만 최근에는 과체중~비만 인구 증가와 무릎 관절에 무리가 갈 수 있는 다양한 스포츠 활동으로 발병 연령대가 낮아지고 있다.

초기 퇴행성 관절염은 증상이 경미해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가 많지만 활동이 늘어나고 시간이 지날수록 통증이 심해진다. 

증상이 심해지면 움직이지 않아도 통증이 발생하고, 누를 때 아픈 압통도 발생한다. 심하면 다리가 O자형으로 변형될 수 있는 만큼 초기 치료가 중요하다.

퇴행성 관절염 초기로 진단됐다면 약물치료, 물리치료, 주사치료 등 비수술요법으로 증상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꾸준한 치료에도 별 효과가 없거나 재발하는 경우에는 인공관절수술 등 수술요법을 고려할 수 있다.

삼성본병원 조찬희 원장[사진]에 따르면 연골 손상이 심한 퇴행성 관절염 말기 환자는 인공관절수술로 손상된 관절을 제거하고 환자 개인에게 맞는 인공관절로 바꿀 수 있다. 

조 원장은 "인공관절수술은 통증 정도, 관절 상태, 생활 패턴 등을 파악한 다음 결정한다. 최소 절개로 진행되기 때문에 출혈이나 흉터에 대한 걱정이 많은 고령의 환자나 만성질환의 환자도 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한다.

예방이 중요한 만큼 무릎 관절의 무리한 사용은 절대 금물이다. 조 원장은 "개인에 적합한 운동으로 관절 주변 인대, 근육을 강화해 주는 게 바람직하다"고 조언한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