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불안과 대인관계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이는 경계 인격장애(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BPD) 국내 유병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석정호 교수팀은 국내 경계 인격장애의 유병률 및 임상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인구 1만 명 당 1명이 진단 및 치료 중이라고 연세의학저널(Yonsei Medical Journal)에 발표했다.

BPD는 권태감과 공허감이 만성적으로 나타나며, 자제력이 부족해 충동적인 행동을 보인다. 이로 인해 도벽과 도박, 약물 남용의 위험성이 높고 대인관계가 불안정하며, 환자의 약 60%~80%는 자살 시도를 경험하는 등 사회적 부담이 높다. 

하지만 국내 경계성 성격장애의 실제 발병률과 임상적 특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번 연구 대상자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데이터(2010~2019). 분석에 따르면 국내 환자수는 2010년 3,756명에서 2019년 4,538명으로 약 1.2배 증가했다.

남성환자 유병률은 같은 기간 0.81명에서 0.80명으로 큰 변화는 없었다. 반면 여성에서는 1.12명에서 1.32명으로 약간 늘어났다. 

국내 경계성 인격장애 유병률 추이
국내 경계성 인격장애 유병률 추이

연령 별로는 20대가 가장 높았으며, 연령대가 높아지면서 유병률은 감소했다. 지역 별 유병률(1만명 당)은 서울이 8.71명으로 가장 높고, 이어 대전(6.62명), 대구(5.9명) 순이었다.

석 교수는 "보험청구자료의 특성을 고려해도 경계성 성격장애 유병률이 낮은 만큼 임상 현장에서 경계성 인격장애가 매우 낮은 비율로 진단되고 있다"면서 "국제적 연구 흐름에 맞춘 진단율 향상과 치료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