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과에 비해 소외됐지만 비뇨의학과는 분명 필수의료과목입니다."

정부가 26일 의대정원 확대와 필수의료 강화 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대한비뇨의학회가 자가도뇨 교육수가 신설을 요구했다. 중증 배뇨장애환자에 대한 배뇨관리는 비뇨의학과의 필수영역이라는 것이다.

학회는 "고령환자가 늘어나면서 배뇨장애 환자도 증가하고 있다"면서 "특히 중증 배뇨장애는 인간의 존엄성과 삶의 질을 좌우하는 만큼 배뇨관리는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미 해외에서는 자가도뇨가 활성화되고 있다. 6개 병원 767명의 중증 배뇨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독일 연구에 따르면 자가도뇨 사용률이 75%에 이른다.

하지만 우리나라 상황은 정반대다. 지난 2017년 경인지역 13개 요양병원 조사에 따르면 중증 배뇨장애 환자의 7%만이 비뇨의학과 진료를 받았다.

환자의 83%는 배뇨장애 전문 진료나 처방없이 관리됐으며, 이로인해 요로감염, 요폐, 신부전, 요로결석 등 비뇨기계 합병증 발생률은 20%에 달했다. 

한준현 학회 보험이사(한림의대)는 얼마전 요양병원에서 환자의 기저귀 속에서 성기를 묶은 비닐이 발견돼 충격을 준 사건이 발생한 원인도 기저귀에 의존해 벌어진 비상식적인 결과라며 자가도뇨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이상적인 배뇨 관리는 잔뇨를 최소화하는 것"이라며 "노인 중증 배뇨장애 관리를 위해 환자와 보호자에게 간헐적 자가 도뇨 교육을 주기적, 반복적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자가도뇨교육도 당뇨교육처럼 시행돼야 한다"면서 "다만 기구를 이용하는 교육인 만큼 전문의 참가는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날 학회는 소아비뇨의학 전문의 유지를 위한 지원책도 필요하다는 제언도 나왔다. 김성철 홍보이사(울산의대)는 "소청과 대란이 일어나고 있는데 소아비뇨의학과는 이보다 더 심각한 수준"이라며 "현재 대한소아비뇨의학회에 등록된 소아비뇨기전문의수는 29명, 그 중 소아비뇨기 질환만 보는 전문의는 9명에 불과하다"고 심각성을 강조했다.

그나마 서울과 경상도에 각각 11명이 분포돼 있어 지역 편중이 심각한 수준이다. 김 이사에 따르면 2021년 소아비뇨기 전문 수술 대부분은 서울에서 시행되고 있어 다른 지역에서는 수술환자 감소로 소아비뇨기 전문의 유지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회는 4가지 지원책 △병원마다 소아비뇨기질환만 진료하는 전문의를 지정 및 이를 유지할 수 있는 지원책 △소아비뇨기 질환에 대한 대국민 캠페인과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대상 교육지원 △진료 및 전문 수술에 대한 수가인상 △향후 출산율에 중요한 잠복고환 및 정계정맥류 진료에 대한 수가인상 등 4가지 지원책을 요구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