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흡연했어도 관상동맥시술 후 금연하면 주요심뇌혈관사건(major adverse cardiac and cerebrovascular event, MACCE) 발생 위험이 비흡연자와 비슷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다만 흡연력이 20갑년 미만이라야 한다. 20갑년이란 하루에 1갑씩 20년간 흡연한 경우를 말한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한정규 교수팀(의정부을지대병원 기유정 교수, 숭실대 한경도 교수)이 관상동맥 중재시술(PCI) 환자를 대상으로 흡연 상태와 치료 성적의 관련성을 분석해 유럽심장학회지 (European Heart Journal)에 발표했다.

심장근육에 혈류를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면 운동시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등이 발생한다. 치료법은 스텐트 삽입이나 풍선확장술 등으로 관상동맥을 넓히는 관상동맥 중재시술을 시행한다.

흡연은 심혈관계질환자에 중요한 위험인자이지만 약물용출형 스텐트 등 최신 의료기술로 치료받은 후 흡연과 치료 성적을 분석한 대규모 연구는 없었다고 연구팀은 설명한다. 

특히 관상동맥 시술 후 금연이 치료 성적에 미치는 영향은 규명되지 않았다. 시술받은 환자를 흡연군과 금연군으로 무작위 배정하려면 윤리적인 문제가 뒤따르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 대상자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2009~2016년)에서 관상동맥중재시술 후 검강검진에서 흡연 여부가 확인된 환자 7만 4,471명. 

이들을 건강검진 시점의 흡연 상태에 따라 비흡연자, 흡연자, 과거흡연자(흡연력 있으나 검진 시점 금연)로 나누고 MACCE 발생 위험을 비교했다.

4년간(중간치) 관찰한 결과, 비흡연자 대비 흡연자에서 20% 높아 최신 관상동맥 치료 후에도 흡연이 치료 성적이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과거흡연자는 비흡연자와 유사했다. 

흡연 상태 변화에 따른 치료 효과도 비교했다. 관상동맥 시술 전과 후 건강검진을 받은 3만 1,887명의 환자를 비흡연자(비흡연→비흡연), 지속흡연자(흡연→흡연), 금연자(흡연→비흡연)으로 나누자, 흡연력이 20갑년 미만인 환자는 시술 후 금연시 MACCE 발생 위험이 비흡연자와 통계적으로 유사했다.

반면 20갑년 이상이면 금연해도 지속흡연자와 비슷했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누적된 흡연량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심장 근육에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을 유발하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결과는 관상동맥 시술을 받은 심근경색환자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환자 2만 8,336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흡연자 MACCE 발생위험은 비흡연자 대비 15% 높았고, 과거 흡연자는 비흡연자와 유사했다. 

다만 시술 후 금연해도 MACCE의 발생 위험 감소는 두드러지지 않았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대상 환자수가 부족해 통계적 의미가 없거나, 과거 흡연으로 심근경색이 누적된 심장 근육 손상과 상승 작용을 일으켜 더 큰 비가역적 손상을 유발한 결과"라고 추정했다.

한정규 교수는 이번 연구에 대해 최신 관상동맥 치료를 받는 환자라도 흡연이 치료 성적에 악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대규모 인구기반연구로 증명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흡연력이 20갑년 미만이면 시술 후 금연시 비흡연자와  치료 성적이 비슷하다"먼서 "특히 흡연자라도 비흡연자만큼의 양호한 치료 성적을 거둘 20갑년 정도의 기회의 창이 있는 만큼, 적극적인 금연을 서둘러 시행할 수 있도록 의사와 환자 모두 관심과 노력을 기울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