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앞에 뿌예지는 질환으로는 망막박리와 백내장 등이 많이 알려져 있지만 중심장액망박병도 있다.

망막 안에 물이 차 발생하며 갑자기 눈앞이 동전으로 가려진 것처럼 시야가 뿌예지거나 물체가 휘거나 실제와 색이 다르게 보인다.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주는데다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황반변성으로 진행하거나 시력까지 잃을 수 있는데도 발생 기전에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최근 서울아산병원 안과 이준엽 교수팀이 특정 마이크로RNA(miR-184)의 증가로 중심장액망막이 발생한다는 연구결과를 나노바이오 분야 국제학술지(Journal of Nanobiotechnology)에 발표했다.

교수팀에 따르면 중심장액망막병 신규 발생률은 매년 1만명 당 1~2명이다. 스트레스나 수면부족, 스테로이드 복용 등과 관련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자연 치유되기도 하지만 만성화 또는 재발한 경우에는 비정상적으로 혈관성장을 촉진하는 물질을 억제하는 항혈관내피성장인자항체 주사치료를 시행한다.

치료 후에는 호전되는 경우가 많고 기존의 광역학레이저치료보다 망막 위축 부작용 위험이 적지만 일부에서는 효과가 없어 치료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필요했다.

이번 연구 대상자는 아급성(급성과 만성 사이) 중심장액망막병 환자 42명과 일반인 20명(대조군).

이들의 안구 내 방수 속 엑소좀을 채취해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을 실시했다. 그 결과, 환자군에서 마이크로RNA-184(miR-184)량이 일반 대조군에 비해 100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양이 많을수록 주사치료 반응률이 낮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또 miR-184가 혈관내피세포의 증식과 이동에 관여하는 STC2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고, 그 결과 신생혈관생성을 억제한다는 사실도 발견됐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중심장액망막병이 황반변성으로 진행되지 않도록 신생혈관생성을 억제하는 방어체계로 miR-184가 보상적으로 증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1회 주사치료로 환자의 약 41%는 1개월 내 이상소견이 호전돼 조기에 치료하면 결과도 좋을 것으로 기대됐다.

이 교수는 "황반변성이나 당뇨망막병증 등 다양한 망막질환치료에서 고비용 주사치료제가 사용되고 있는데, 약제의 치료반응성을 예측할 수 있다면 조기에 최적의 치료법을 선택해 신속한 증상 완화와 환자 부담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