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대사 조절을 통해 피부 멜라닌 세포의 노화를 지연시키는 기술이 개발됐다.

아주대 피부노화 연구팀이 세계적인 글로벌 기업인 샤넬(CHANEL) 연구팀과 공동으로 멜라닌 세포의 노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세포 내 당대사의 변화가 발생하며, 멜라닌 소체의 전달 기능 장애로 세포 내 멜라닌 색소가 축적된다는 사실을 규명해 국제학술지 테라노틱스(Theranostics)에 발표했다.

멜라닌 소체는 멜라닌 세포가 만든 색소를 피부 표피 내 각질형성세포로 전달하며, 피부 색소 형성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자외선에 장기간 노출되면 피부 멜라닌 세포가 노화되고, 얼룩덜룩한 피부로 노화시킬 뿐 아니라 악화되는 이유다.

연구팀은 멜라닌 세포가 노화되면 정상세포에 비해 멜라닌 색소와 소체의 함량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노화 표현형 유전자 발현은 증가하고, 멜라닌 소체 전달 기능 관련 유전자와 단백질은 줄어들었다.

반면 멜라닌 합성능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아 멜라닌 소체 전달 기능의 장애가 원인으로 확인됐다. 이 결과에 근거해 연구팀은 포도당 대사 과정을 조정하는 2-디옥시-D-글루코스(2-Deoxy-D-glucose, 2-DG)를 기반으로 당대사 과정 재프로그래밍을 통해 자외선에 의한 멜라닌세포의 노화 지연 기술을 최초로 개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 기술은 멜라닌 세포의 노화를 늦추고 멜라닌 소체를 전달하고, 멜라닌 색소와 소체 함량을 정상화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강희영 교수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지속적인 관심의 대상인 피부 노화 관련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멜라닌세포의 노화 기전 및 노화 멜라닌세포의 새로운 특징을 처음으로 밝혔다는 데 이번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