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산이 출생체중보다 폐기능 발달에 더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는 기존 주장을 뒤집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소아천식아토피센터 유진호 교수 · 가톨릭대 부천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김환수 교수팀은 국내 천식환아를 대상으로 출생체중과 폐기능의 관련성을 분석해 아시아·태평양 호흡기학회저널(Respirology)에 발표했다.

사람의 폐기능은 출생 후 증가하다가 20대 초반 정점 이후 서서히 떨어지는 곡선을 그린다. 천식 환아의 폐기능은 성인기에도 정상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노화 과정에서 정상인보다 더 크게 떨어질 위험이 있다. 

특히 폐기능와 천식 악화 위험은 비례하는데다 나이들면서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등 다른 폐질환 발생 위험까지 높아진다.

이번 연구 대상자는  5~15세 천식 환아 566명. 이들 가운데 57명은 임신 37주 미만에 태어난 미숙아다.

대상아의 1초당 강제 호기량(FEV1, 1초 당 내쉴 수 있는 공기량)은 정상 대비 평균 92.2%, 92.3%였으며, 노력성 폐활량(FVC, 숨을 최대한 들이마신 상태에서 최대한 내뱉을 수 있는 폐의 용량)은 정상 대비 평균 99.8%, 97.8%로 폐기능 지표 상에서는 조산 여부에 따른 큰 차이가 없었다.

반면 출생 시 몸무게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있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출생체중 기준에 따라 하위 10%(저체중), 상위 10%(과체중), 80%(정상체중)으로 나누어 페기능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과체중아의 FEV1은 정상 대비 평균 94.6%인 반면, 정상 및 저체중아는 각각 90.9%, 86.4%로 출생체중이 낮을수록 폐기능이 크게 낮았다.

FVC도 정상 대비 과체중 출생아의 경우 평균 101.8%인 반면, 정상 및 저체중 환아는 각각 97.2%, 94.3%로 출생 체중 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유진호 교수는 "출생 시 혹은 매우 어릴 때 폐기능 발달 정도가 소아 천식 발생과 진행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폐기능이 낮을수록 천식 악화 위험이 높아진다"면서 "현재는 폐기능을 높일 수 있는 근본 방법이 없어 천식 환아 중에서도 저체중으로 태어난 환자들의 부모님들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