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를 잃으면 수복치료가 필요하다. 과거에는 틀니를 많이 선택했지만 최근에는 임플란트가 더 많이 시행되고 있다. 저작력 회복이 우수하고 심미성도 뛰어나기 때문이다.

다만 임플란트는 수술 과정이 복잡하고 섬세한 기술을 요한다. 대중화되면서 부작용에 따른 고통을 호소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부작용이 심할 경우 재수술해야 할 수도 있다. 재수술을 한다면 실패 원인 부터 찾아 문제를 제거한 후 손상된 잇몸뼈에 임플란트를 재식립해야 한다. 난이도는 더 까다롭고 환자에도 부담된다.

임플란트의 대표적 부작용으로는 임플란트 주위염과 보철물 탈락 및 파절이 있다. 임플란트 주위염은 보철물과 잇몸 사이 틈으로 세균이 침투했을 때 발생한다. 

치조골이 소실되거나 심하면 보철물이 탈락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염증이 발생하면 통증으로 알아차리지만 임플란트 후에는 신경이 남아있지 않아 심각한 상태가 돼서야 내원하는 경우가 많아 재수술 사례가 적지 않다.

또다른 부작용은 보철물에 가해지는 힘을 견디지 못해 파절되는 경우다. 임플란트 수술 부위로 단단하거나 질긴 음식을 씹지 말아야 하는 이유다. 

매우 조심했는데도 불구하고 보철물이 빠지기도 한다. 고르다치과의원 김현중 원장[사진]에 따르면 보철물을 받치는 지대주가 힘을 잘 분산시키지 못하면 보철물 파절 확률이 커진다.

김 원장은 "보철물과 잇몸 사이의 틈이 없어야 이물질이나 세균 침투할 우려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기성품의 지대주보다 잇몸 라인, 치아 상태 등을 고려해 제작한 맞춤형 지대주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맞춤형 지대주는 틈이 생길 가능성이 적고 보철물에 실리는 힘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보철물 파절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저작력 역시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 수술한지 한참 후 나사가 풀릴 가능성도 막을 수 있다.

하지만 맞춤형 지대주도 만능은 아니다. 김 원장은 "맞춤형 지대주로 틈을 줄였어도 주위에 치석·치태가 쌓인다면 염증 발생률은 높아진다"고 말한다. 

따라서 임플란트 후 3~6개월마다 내원해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고 스케일링으로 치석이 쌓이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올바른 칫솔질과 치간 칫솔, 치실 등의 사용도 중요하다. 치석이 생기지 않도록 시간을 들여 꼼꼼하게 칫솔질해야 한다. 치아만 닦는 것이 아니라 잇몸과 보철물이 만나는 부근도 쓸어내리듯 닦아내야 한다.

김 원장은 "임플란트 주위염 등의 부작용을 예방하고 오래 사용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치아 상태, 잇몸뼈의 양, 구강 구조 등을 고려한 계획 및 수술, 그리고 정기검진 및 관리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