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마티스관절염을 더욱 정확하게 진단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가톨릭의대 창의시스템의학연구센터 김완욱 단장(서울성모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 연구팀과 서울대 생명과학부 황대희 교수 공동연구팀은 류마티스 관절염의 주요 병인 조직인 판누스와 그 구성 세포인 활막세포에서 분비되는 주요 단백질 16개를 발견해 국제학술지 '류마티스질병연보'(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에 발표했다.

판누스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류마티스 활막세포는 중증 류마티스관절염에서 크게 증식돼 연골을 파괴하고 염증을 증가시킨다. 하지만 판누스 및 활막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과 류마티스관절염 중증도의 관련성은 확실하지 않다.

연구팀이 이번에 발견한 단백질 16개 중 하나인 미오신 중쇄(MYH9)는 세포 내 액틴 사슬과 직접 작용해 세포의 다양한 기능과 행동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팀의 분석 결과, MYH9가 활막세포의 액틴 사슬과 공존하며, MYH9를 저해시키면 세포의 이동성과 침윤성이 줄어든다는 사실이 학계 최초로 확인됐다.

아울러 MYH9저해제인 블레비스타틴(blebbistatin)을 사람 활막염을 모사한 아바티 생쥐모델에 투여한 결과, 연골파괴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효과는 자가면역 염증성관절염 모델에서도 유의했다.

연구팀의 이번 연구성과는 향후 관련 분야에서 수행될 후속 연구에 핵심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펀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았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