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 속 혈액 역류를 막아주는 심장판막. 제기능을 상실하면 폐부종이나 심정지까지 발생할 수 있다.

발생 원인은 노화와 염증, 선천성기형이 꼽히는데 치료법은 판막을 교체하는 심장판막 치환술이다. 생체조직으로 만든 판막이나 인공판막을 선택하는데 나이와 성별, 환자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대개 젊은 연령대의 환자는 기계판막을, 고령이면 조직판막을 사용하는데 연령 기준점 연구 대부분이 해외 데이터라서 국내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었다.

이런 가운데 서울아산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김준범 교수, 심장내과 김대희 교수팀이 심장판막치환술 환자를 대상으로 연령 별 선택 기준을 마련해 미국의학협회지(JAMA Network Open)에 발표했다.

연구 대상자는 심장판막치환술을 받은 환자 2만 4,375명. 이들의 인공판막 종류 별 사망위험을 비교 분석했다.

우선 대동맥판막 치환술의 경우 사망위험은 40~54세에서는 조직판막이 약 2배, 55~64세에서는 1.3배 높았다. 반면 65세 이후부터는 조직판막의 사망 위험이 약 1.2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승모판막 치환술의 경우 55~69세에서 조직판막의 사망위험이 1.2배 높았다. 대동맥판막과 승모판막 모두 조직판막이 기계판막에 비해 55~64세에서는 사망 위험이 2.02배 높았다.

김준범 교수는 "심장판막 치환술에서 어떤 인공판막을 사용할지 결정하는 건 매우 중요하면서도 까다로웠지만 국내를 비롯한 아시아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가 없었다”며 “인공판막 선택의 국내 연령 기준이 서구의 기준보다 약 5~10세 높은 만큼, 국내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심장판막 질환자들을 더욱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