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둘레는 대사증후군의 인자이지만 복부혈관 주변이 지방이 쌓이거나 지방 조직의 질이 낮을 경우에도 대사이상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순천향대서울병원 신장내과(공동교신저자 권순효 교수)와 영상의학과(공동교신저자 이은지 교수) 융합연구회는 건강검진자 505명의 컴퓨터단층촬영(CT) 데이터로 혈관, 신경, 임파관이 있는 콩팥굴(renal sinus) 지방 조직과 복부대동맥 주위 지방 조직의 양 및 질과 대사이상의 관련성을 분석해 유럽영양대사학회지(Clinical Nutrition)에 발표했다.

대상자를 대사이상 인자 갯수에 따라 0개군, 1~2개군, 3개군 등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대사이상 인자가 많을수록 대비 혈관 주위 지방조직의 양은 증가하고 지방 감쇠 계수는 감소했다.

특히 체질량지수를 포함한 여러 가지 교란 변수들을 고려해도 대사이상 인자가 3개인 군에서는 혈관 주위 지방 조직의 양과 대사이상 위험은 관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복부 혈관 주변 지방조직이 너무 많으면 대사증후군 발생과 관련하며 지방 조직의 질적 변화는 경미한 대사 이상에서도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복부 혈관 주위 지방 조직을 CT 영상으로 평가해서 심혈관질환 위험이 비교적 낮은 환자에서도 잠재적으로 유용한 바이오마커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더 나아가 임상에서 사용하는 영상자료로 대사 질환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 개발의 중요한 단서를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