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위암 환자는 모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pylori)균에 감염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이들은 위점막세포가 염증으로 없어진 후 대장이나 소장 점막세포로 대체되는 현상인 장상피화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상피화생을 가진 군에서는 위암발생률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약 1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H.pylori의 제균이 위암을 예방하는데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이 규명됐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영 교수는 1992년부터 1998년 동안 병원을 내원한 1,79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평균 9.4년 장기 추적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김 교수에 따르면 장상피화생의 연령대별 양성률은 30대에서 11.3%, 70세 이상에서는 42.9%로 나타나 나이가 들수록 높아졌다.

또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군과 비감염군에서의 장상피화생 유무를 비교한 결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비감염군은 40대에서는 9.7%의 양성률을 보이다가 70세 이상에서는 30%를 보인 반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군은 30대에 이미 21.1%의 높은 양성률을 보였다.

70세 이상에서는 50%의 양성률을 보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여부에 따라 매우 큰 차이를 보였다.

한편 장상피화생의 유발원인으로는 H.pylori감염여부, 연령, 흡연, 매운음식 등으로 나타났다.

즉 H.pylori 감염군은 비감염군에 비해 8.2배의 위험률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흡연력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3.5배, 매운 음식을 즐기는 경우가 아닌 경우에 비해 2.4배 위험률을 나타냈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따라서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영 교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환자라면 제균 치료를 받아 장상피화생으로 진행되는 것을 예방하도록 하는데, 장상피화생 발생 예방을 위해서는 30대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검사를 받아 양성인 경우 제균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 밝혔다.

이 연구는 2006년 5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보건복지가족부 미래보건기술개발사업중개연구(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의해 수행됐으며, 미국소화기학회지 Clinical Journal of Gastroenterology 5/6월호와 Helicobacter지에 발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