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낭은 태어나자마자 생성이 중단되는데 특정 유전자 발현이 원인이라는 사실이 입증됐다.

서울대병원 피부과 권오상, 조성진 교수팀은 쥐의 상부진피 섬유아세포를 대상으로 출생 직후 모낭 재생능력이 사라지는 기전을 분석해 오픈 액세스 저널인 셀 리포트(Cell Reports)에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모낭은 태아기 3~7개월에 만들어진 이후에는 생성되지 않는다. 진피 줄기세포가 출생 후에는 모낭 재생능력을 잃기 때문이다. 이후부터는 모낭이 손상되면 탈모로 이어진다.

이번 연구 대상은 아기 모낭 생성을 담당하는 성체 줄기세포인 상부진피 섬유아세포. 분석 결과, 생후 4일째 섬유아세포의 모낭 재생력은 급감해 생후 4개월째에는 완전히 사라졌다.

섬유아세포의 유전자 발현 양상을 날짜 별로 확인하자 세포를 성숙시키는 유전자 발현은 급증했지만 재생능력 관련 유전자는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그 원인을 후생유전적 조절 기전인 히스톤 단백질 탈아세틸화에서 찾았다. 이는 DNA 염기서열의 변형 없이, 스위치처럼 유전자 발현을 열고 닫아 유전자 발현 패턴이 바뀌는 것을 말한다.

탈아세틸화를 억제하자 유전자 발현 패턴이 변하지 않아 섬유아세포 모낭 재생력도 유지됐다. 연구팀은 또 이를 조절하는 유전자는 Twist2 전사인자라는 사실도 확인했다. 탈아세틸

권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확인된 기전을 활용하면 성인기에도 모낭을 가진 피부를 재생할 수 있을 것"이라며 "영구 탈모나 피부 조직이 손상된 환자에게 재생의학 관점에서 새로운 치료의 길을 열어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