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 간암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가 발견돼 적극 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가려낼 수 있게 됐다.

아주대병원 소화기내과 김순선 교수팀(은정우 연구교수, 안혜리 대학원생)은 간암 바이오마커(생체지표)로 사용할 수 있는 자가항체 23개 가운데 WASF2가 간암 예후와 유의하게 관련한다고 종양학 분야 국제학술지(Journal of Experimental & Clinical Cancer Research)에 발표했다.

WASF2(Wiskott–Aldrich syndrome protein family member 2)는 액틴 세포골격 경로의 필수 요소로서, Arp2/3(Actin-related protein2/3) 복합체와 상호작용해 세포의 접합 및 운동성을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WASF2가 Arp2/3, F-actin과 공동 발현해 EMT(상피세포였던 암세포가 중간엽 세포로 변화하는 현상) 현상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세포의 이동성(전이) 및 침습적(악화) 특성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간암환자에서는 WASF2의 메틸화가 낮아 많이 발현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WASF2 과발현 환자의 생존율은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