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황장애는 특별한 이유없이 숨이 막혀 질식할 듯한 극단적 불안이 나타나는 증상이다. 큰일이나 어려운 상황에 마주한 상태를 뜻하는 패닉(panic)이 공황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공황장애 진료인원은 2012년 36만 3천 명에서 2013년 40만 2천 명, 2014년 43만 명으로 매년 증가했다. 

연령 별로는 40대가 가장 많고(29.0%), 이어 50대(23.2%), 30대(19.5%) 순이다. 특히 중년층 직장인 진료인원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전한다. 

해아림한의원(인천 송도점) 임희철 원장[사진]은 "공황장애 초기 증상은 호흡이 가빠지고 질식할 듯한 느낌이 든다"면서 "가슴이 심하게 두근거리거나 답답하고 어지럽거나 메스껍다면 공황장애를 의심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손과 발 등 신체 일부의 떨림과 저림 등의 감각 이상 증세와 오한과 식은땀도 나타나며 극도의 공포감도 든다.  공황장애 발생은 불안과 공포를 느끼고 조절하며 불안을 느꼈을 시에 신체에 대한 통제력을 가지고 있는 두뇌의 특정 영역들에 기능적인 불균형으로 발생한다.

원인은 크게 4가지로 나뉜다. 대인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나 주변 사람과 갈등으로 인한 심리사회적 요인,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가바 등 신경 전달물질 시스템의 이상, 측도엽, 전전두엽 등의 뇌 구조의 이상 등에 의해 유발되기도 한다. 

불안과 공포, 두려움을 조절하는 편도체와 해마의 기능저하로 공황장애, 불안증, 불안장애가 유발되기도 한다. 이밖에도 뇌졸중, 약물 알러지반응, 과음에 따른 숙취 등이 공황을 더욱 유발한다. 

임 원장에 따르면 공황장애는 재발이 잦은 만큼 초기 및 지속 치료가 중요하다. 치료시기를 놓치면 불면증이나 강박증이 동반된다. 불안장애의 일종인 강박증은 두뇌의 민감도가 높아진 상황에서 두뇌 기능상의 불균형이 초래되는 질환이다.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강박적 사고가 지속되고 불안해지며, 그 불안을 없애기 위해 특정 행동을 반복한다. 잦은 손 씻기, 숫자 세기, 확인하기, 청소하기 등이 강박증 사례다. 

강박증 환자는 의식적으로 강박행동을 삼가거나 강박사고를 머리에서 지우려고 하는 경우가 흔하다. 특히 공황발작 경험자에서는 특정상황과 장소를 의식적으로 피하거나 특정 행동을 반복해 발작 상황이 재발되지 않기를 바라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는 일시적 편안함만 제공할뿐이며 결과적으로는 불안감과 초조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한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임 원장은 "공황장애의 치료 목표는 신체증상 완화와 발작 빈도를 줄여 두뇌 기능을 조화로운 상태로 만들어가는 데 있다"면서 "불면증 동반시 카페인이나 알코올 섭취를 삼가고일정시간 햇볕을 쐬는 습관을 갖는 게 좋다"고 조언한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