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수명이 늘면서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사회가 됐다. 이와함께 퇴행성 변화로 질병을 앓는 사람 역시 증가했다. 특히 무릎관절은 다른 신체 부위에 비해 움직임이 많아 퇴행성변화가 빠른 편이다. 

무릎에 발생하는 퇴행성관절염은 뼈를 보호하는 골연골이 소실되면서 발생한다. 초기에 치료를 시작하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물리치료 및 주사 요법 등의 비수술적 방식으로도 호전을 기대한다. 

또한 다리 근력을 강화시키면 무릎 관절의 부담도 덜 수 있다. 하지만 다리 모양의 변화 뿐만 아니라 뼈도 손실까지 진행되는 중증 단계라면 인공관절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무릎 골연골은 일단 손상되면 재생이 불가능하고 악화되기 때문이다. 선수촌병원(잠실) 김상범 원장[사진]은 "골연골 소실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떨어져 나가기 때문에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치료 시기를 놓쳐 골연골이 손실되면서 병변 부위가 확대되고 있다면 미세천공술이나 줄기세포를 이용한 카티스템 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골연골이 거의 남아있지 않고 뼈까지 손실됐다면 연골 재생수술 보다는 무릎인공관절수술이 적합하다.

무릎인공관절은 수술 만큼 관리도 중요하다. 김 원장은 "수술 후 초기 6주간은 무릎 관절이 경직되지 않도록 관절의 가동 범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고, 다리 근력도 점진적으로 강화시켜야 한다"며 집중적인 재활치료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권장할만한 운동으로는 가벼운 걷기, 실내 자전거 운동, 수영 등이며, 발목과 허리의 재활치료도 무릎관절의 부담을 줄여줘 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덧붙인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