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 대식세포의 면역관문 역할을 하는 물질 VISTA의 역할이 확인돼 향후 사구체신염 치료제 개발의 근거가 마련됐다.

서울대병원 신장내과 한승석·서울의대 의과학과 이동섭 교수 공동연구팀은 급성 사구체신염환자의 신장 염증과 섬유화 매커니즘에 관여하는 VISTA의 역할의 동물분석 결과를 국제학술지 '임상연구저널'(The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에 발표했다.

사구체신염은 사구체 손상으로 발생하는 염증 질환으로 단백뇨나 혈뇨를 동반한다. 신장 조직검사를 통해 진단되며 면역억제제나 저염식, 혈압·혈당조절 등 보존요법을 실시한다. 

하지만 일부 환자에서는 신세뇨관이 손상돼 신장 섬유화가 진행돼 투석까지 이르는 만큼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을 위한 신장 면역반응 메커니즘 분석이 필요한 상황이다.

연구팀은 정상 마우스에서 신장 대식세포의 면역관문 물질인 VISTA가 과발현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VISTA 유무에 따른 염증도(서울대병원 제공)
VISTA 유무에 따른 염증도(서울대병원 제공)

대상 마우스를 VISTA 결핍군과 정상군으로 나누고 급성사구체신염을 유발시킨 후 신장 손상정도를 비교했다.

그 결과, VISTA 결핍군에서 사구체 손상지표(단백뇨량·알부민뇨량) 및 신세뇨관 손상지표(혈중요소질소·크레아티닌) 모두 높게 나타났다. 

연구팀에 따르면 VISTA가 T세포의 대사면역학적 특성을 변화시켰기 때문이다. 신장섬유화도 VISTA발현으로 감소된 것으로 확인됐다.

한 교수는 "신장 대식세포를 활용하거나 표적치료제 개발에 핵심 근거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