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를 받으면 가슴이 답답해지거나 감정이 불안해진다. 경미한 수준이라면 호흡을 다잡고 휴식하면 나아질 수 있지만, 숨이 막히고 심장 주변에 통증이 발생하는 정도라면 공황발작을 의심해 볼만 하다. 

공황발작은 일상생활 중 죽을 것 같은 공포감에 휩싸이며 통증, 현기증, 발한 등을 느끼는 현상이다. 주로 사람이 많거나 좁고 폐쇄된 공간, 또는 스스로 제어할 수 없다고 느껴지는 상황에 처했을 때 쉽게 나타난다. 

증상은 발작 시작 후 20~30분 정도에 최고조에 달했다가 1시간 내외면 자연스럽게 좋아진다. 공황장애는 이러한 공황발작과 함께 이에 대한 극심한 불안감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을 때 진단된다.

공황발작은 일단 발생하면 개인 의지로 극복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근본 원인부터 바로잡지 않으면 재발할 수 있어 초기에 전문가 진단이 필요하다.

자하연한의원 임형택 원장[사진]에 따르면 공황장애 치료에는 불안과 밀접하게 관련하는 심장을 안정시키는 게 이상적이다. 예로부터 심장은 감정, 정서, 기억 등을 조율하는 장기로 여겨져 왔으며 긴장과 이완을 조절하는 자율신경과도 연결돼 있다.

임 원장은 "학업, 과로, 대인관계 등으로 생긴 스트레스가 누적되면 신체 내부에서 열의 성질로 변한다. 이것이 심장에 누적되면 심장이 달아올라 기능이 떨어진다"면서 "이로 인해 자율신경에 이상이 생기고 불안감이 과도하게 증폭되면서 공황발작, 공황장애로 이어진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반복되는 공황발작으로 일상생활에 큰 불편함을 겪고 있다면 스트레스나 과로, (울)화로 인해 달아오른 심장의 열을 내려주고 기능을 회복해주면 도움이 된다. 심장 기능이 안정되면 자율신경 또한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스트레스를 받아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임형택 원장은 "일단 공황발작 증상이 한 번 나타나면 빈도는 갈수록 잦아지고 증상도 심해지는 경향을 보인다"면서 "발작이 없으면 괜찮다보니 무시하기 쉬운데 방치하면 우울증, 불면증 등 다른 추가 질환도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빠른 치료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