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와 피하조직의 세균감염인 연조직염 진료환자가 지난해 122명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조직염은 과거 봉와직염이나 봉소직염으로 불렸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최근 5년간(2015~2019년) 진료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연조직염 환자는 전년 대비 10만 8천명 늘어난 총 122만 3천명이다. 성별로는 남성이 5만 2천명 늘어난 59만 8천명, 여성은 5만 6천명 늘어난 62만 6천명이다.

연령 별로는 50대가 약 16%(19만 7천명)로 가장 많고, 이어 60대(14%), 40대(13.6%) 순이었다. 30대까지는 남성이, 40대 이상부터는 여성이 많았다. 연조직염 최다 발생시기는 8월(14만 5천여명)이고 2월에 가장 적었다(약9만 2천명).

일산병원 감염내과 정우용·박윤선 교수는 "습도가 높고 야외활동이 늘면서 연조직염의 주요 원인균인 황색 포도알균 등의 세균 번식이 쉽고, 상처를 입거나 모기 등 벌레에 물린 부위가 연조직염 질환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또한 연조직염 질환을 장기간 방치하면 피부괴사, 패혈증, 화농성 관절염, 골수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할 경우에는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여름철 발생한 피부상처는 완전히 건조한 뒤 연고를 도포하고, 이후 소독밴드를 붙여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모기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며, 모기 물린 자리에 침을 바르거나 긁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