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초등학교 2학년 딸을 키우는 송씨는 요즘 걱정이 많다. 아직 얼굴에 솜털만 있는 어린 딸 가슴에 몽우리가 생겨 볼록하게 튀어나왔기 때문이다. 

애들이 크면서 이차 성징에는 가슴에 딱딱한 몽우리가 잡힌다고는 알고 있었지만 너무 빠른 것같아 병원을 방문한 결과 성조숙증치료가 필요하다는 진단을 받았다. 

이차성징은 만9~10세 전후(초등학교 3~4학년)에 시작되는데 송씨의 딸처럼 약 1~2년 빠르면 병원에서 정확한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좋다.

우아성한의원 정은아 원장[사진]에 따르면 2019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발표에서 최근 5년간 성조숙증 진료 아동이 연평균 9.2%정도 증가하는 등 매년 성조숙증 증상을 보이는 어린이가 늘고 있다. 

정 원장은 "사정이 이러한데도 적절한 진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여아성조숙증의 경우 가슴에 몽우리가 생겨도 소아비만과 구별이 안돼 자신의 신체적 변화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한다"고 설명한다.

정 원장에 따르면 성조숙증을 치료하지 않으면 초경이 빨라져 성장판이 일찍 닫히고 키가 작거나 성인이 된 후 난소와 유방에 종양이 생길 확률이 높아진다.

그는 성호르몬이 일찍 분비되는 성조숙증의 발생 원인을 안다면 유아성조숙증을 예방할 수 있다고 말한다.

성조숙증 발생 첫 번째는 유전이다. 부모나 친척 어른 중에 어릴 때 초등학생 평균 키보다 컸지만 성장이 일찍 멈춰 성인 평균 키보다 작은 분이 있거나 어머니가 초등학생생리 시기가 빨랐다면 자녀도 그럴 가능성이 높다. 이럴 때는 6개월에 한 번씩 전문병원에서 성장 속도를 확인해야 한다.

두 번째는 소아비만이다. 영양이 부족했던 과거와 달리 근래에는 다양한 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는데다 고열량의 서구식 식단이 유행하면서 어린이 비만율이 높아졌다. 유아비만은 성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켜 이차성징을 유도하며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

세 번째로는 스트레스를 들 수 있다. 나이가 어려도 걱정이 있고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실제로 친구 및 부모님과의 관계, 학업 등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를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만약 스트레스가 적절히 해소되지 않고 쌓인다면 체내 호르몬 분비량이 변화돼 이차성징이 일찍 찾아올 수 있다. 때문에 자녀의 스트레스를 풀어낼 수 있도록 이야기와 고민을 들어주고, 음악 또는 영화감상, 독서, 게임 등 건전한 취미 생활을 위한 환경을 만들어주면 좋다.

정은아 원장에 따르면 성조숙증한의원에서는 유아 성조숙증 원인을 알기 위해 아이의 안색과 윤기, 피부, 혀, 눈 등을 확인하고, 성장판 검사와 체성분 검사를 진행한다. 

이어 평소 생활습관과 주변환경 등의 파악화 함께 신체상태도 살핀다. 이후에는 침 치료와 함께 신체 순환을 촉진시켜 건강한 성장을 돕고, 체질을 고려한 성조숙증 한약을 처방한다. 

정 원장은 "이같은 치료를 받으면 가슴에 생긴 딱딱한 몽우리가 풀어지고 초등학생 생리 시기가 제 나이에 맞게 되돌아 오는 등 여자성조숙증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