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공급이 중단됐다가 재개될 경우 급격한 산소공급 탓에 조직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허혈성 재관류 손상이라고 한다.

서울아산병원 탁은영 교수와 미국텍사스의대 신시아 주 교수팀은 간이식 때 발생할 수 있는 허혈성 간손상을 완화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발견, 치료약물 개발 가능성을 높였다고 국제학술지 임상조사저널(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에 발표했다.

탁 교수에 따르면 허혈성 간손상은 간이식 수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생체 간이식 수술 시 이식된 간의 생존율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 지금까지 연구에서는 활성산소를 제거해 허혈성 간손상 억제 초점을 맞춰왔지만 유의한 성과는 얻지 못하고 있다. 

교수팀은 동물모델을 통해 허혈성간손상 시 miR-122 유전자가 많이 발현된다는 사실에 착안해 이 유전자의 작용 기전을 분석했다.

그 결과, miR-122 유전자가 발현되면 타겟 유전자인 PHD1 유전자가 억제되고 허혈성 간손상 환경을 극복하기 위한 항상성 유지 전사인자인 HIF-1α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텍사스대학 연구팀이 생체 간이식환자의 간생검 조직을 분석한 결과, PHD1 유전자는 억제된 반면 HIF-1α와 miR-122 유전자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사람 대상 실험에서도 동일한 기전이 확인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