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정 강도의 운동을 지속하면 비만이 억제된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규명됐다.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김민선 교수팀은 적당한 강도의 지속적인 운동이 식욕조절에 중요한 뇌 신경세포에 약한 스트레스를 전달하고, 신경세포 속 미토콘드리아(세포 내 에너지 생산 장소)가 활성되면서 체내 에너지 소모가 증가한다는 동물실험 결과를 국제학술지 셀 메타볼리즘(Cell Metabolism)에 발표했다.

김 교수팀은 생쥐를 대상으로 식욕을 억제하는 프로오피오멜라노코르틴(POMC) 신경세포에 강도가 다른 스트레스를 가한 뒤 생체 반응을 관찰했다. 

그 결과, 강한 스트레스를 가하자 신경세포가 죽으면서 심한 비만증이 나타났다. 반면 약한 스트레스에서는 뇌신경세포를 활성하는 베타-엔돌핀(β-endorphine)이 다량 생성돼 교감신경계가 활성됐다. 이후 지방조직 내 열 발생으로 에너지가 소모되면서 비만증에 거의 걸리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교수팀은 이어 운동 스트레스에도 동일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생쥐에 2주간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했다. 그 결과, 운동시 근육세포에서 분비되는 인터류킨-6 호르몬이 뇌로 이동해 POMC 신경세포에 약한 스트레스가 전달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는 규칙적인 운동이 뇌 신경세포 속 미토콘드리아의 호르메시스(건강에 이로운 현상) 반응을 유발해 비만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과학적으로 증명했다"면서 "적정 체중을 유지해 비만과 각종 대사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식이요법과 더불어 중등도 강도의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는 한국연구재단 중견과제 연구비를 받았으며, 충남대의대 송민호 교수팀과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대학 이장한 교수팀이 참여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