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의 유전자가 다르면 장속 미생물생태계(마이크로바이옴)에 차이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코호트연구팀(신호철 원장, 김한나 교수)이 참여한 MiBioGen(MicroBiome Genome) 컨소시엄은 최근 장 마이크로바이옴 형성에 관련된 인간의 유전적 요인들을 규명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유전학(Nature Genetics)에 발표했다.

이번 컨소시엄은 11개국(한국, 미국, 캐나다, 이스라엘, 독일, 덴마크, 네델란드, 벨기에, 스웨덴, 핀란드, 영국)이 참여한 장 마이크로바이옴-전장유전체연관분석(GWAS) 메타분석 국제협력연구팀이다.

연구 대상자는 총 24개 코호트 1만 8천여명. 이들의 장내 미생물군의 구성에 영향을 주는 유전적 요인을 분석했다. 그 결과, 관련 유전자 자리 31개가 밝혀졌으며 이 가운데 20개는 미생물의 양, 11개는 미생물의 존재 여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

유당 분해효소를 만드는 락타제 유전자의 변이는 유당을 분해 할 수 있는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량과 밀접하게 관련했으며 fucosyl transferase (FUT2) 유전자 변이는 ruminococcus torques량과 관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량이 늘수록 궤양성대장염 발생 위험이 줄고, 옥살로박테라시에(oxalobacteraceae)는 류마티스관절염을 보호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연구팀은 "음식과 약물의 대사에서 장 마이크로바이옴의 필수적인 역할을 고려할 때, 본 연구결과가 인간유전체 및 미생물군의 유전체 데이터에 기반해 개인 맞춤형 영양소 및 약물 개발 등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