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자급화는 민간의 역량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국가정책과 산업기반이 먼저 구축돼야만 가능하다는 분석이 제시됐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원희목)는 21일 '위드 코로나와 제약바이오산업 기반 강화'를 주제로 발간한 정책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가톨릭의대 강진한 백신바이오연구소장은 '백신주권 확립의 길'이라는 글을 통해 "선진국은 자국민을 위한 3차 방위산업 개념과 미래 바이오산업으로 백신 회사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면서 "백신 산업화는 민간 위주가 아닌 국가정책과 지원이 병행돼야 한다" 강조했다.

강 소장은 정확한 평가없이 행정위주 지원의 백신 정책은 안된다고 지적하고, 백신을 개발할 수 있는 곳을 중점 지원하고, 불필요한 중복 투자를 피하면서 시장에서 제 값을 받도록 해야 자급화가 가능하다는 해법을 제시했다.

국립외교원 강선주 교수는 '바이오안보와 자국우선주의의 도래'에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강화된 글로벌 자국우선주의 기조를 조명하며, 제약바이오산업에 기반한 바이오안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강 교수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의약과 특정 의료장비에서 자급자족의 필요성을 높였다고 말하고 국민 보호에 필수적인 의약품 조달을 경쟁국에 의존하는 것은 안보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바이오안보의 중요성도 급증하면서 국제정치에서 자국우선주의와 경쟁은 더욱 높아져 한국의 바이오안보와 바이오산업의 대응 방안이 필요하다고도 강조했다.

서울대 박하영 교수는 "한국 제약바이오산업은 '연구 및 개발 효율성'과 '전반적 효율성' 모두 크게 개선됐지만 '개발 효율성'이 절대적으로 낮아 신약 도출에 어려움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밖에도 이번 정책보고서에는 △원료의약품 자급률 제고 △글로벌 진출 현황과 과제 △보험의약품 정책환경 변화와 산업계 대응방안 △코로나19와 제약바이오산업에 대한 국민 인식 변화 △항체의약품의 바이오베터 기술 소개 및 개발 동향 △마이크로니들의 시장 및 기업 동향 △입법 동향 등이 수록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