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인 노인 실명의 원인인 황반변성이 저소득층 70대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안과학회는 10월 8일 눈의 날을 맞아 황반변성 관련 팩트시트를 발표했다.

학회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2019년)를 분석한 결과, 전체 황반변성 환자의 거의 전부가 50대 이상에서 발생했으며, 이 중 특히 70대가 전체 환자의 약 38%로 가장 많았다.

황반변성 환자도 급증했다. 2011~ 2016년에 황반변성 환자수는 약 2배 늘어났으며 요양급여비용 총액 역시 4100억원에 달했다. 2015~2019년에도 환자 수는 2배 이상 증가했다.

노인성질환이지만 사회경제적 상태에 따라 다른 유병률을 보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2년) 결과에 따르면 소득수준, 교육수준 및 직업 종류 등 3가지 요소에 의해 황반변성 발생 위험이 달랐다.

소득수준을 4분위로 나누었을 경우 중증 황반변성 환자는 저소득층에서 약 39%인데 비해 고소득층에서는 16%였다. 교육수준 역시 4분위로 나누었을 때 대졸이상은 약 10%인데 비해 초등학교 졸업 이하는 약 56%였다.

또한 농업과 어업 종사자가 10%로 가장 높고, 단순노동직 종사자는 8%였다. 반면 전문직 종사자와 사무직 및 공무원이 1%였다. 황반변성의 사회적 비용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과학회에 따르면 황반변성으로 인한 진료비, 치료비, 생산성손실 비용 등을 모두 포함하는 사회적 비용은 6,900억원이다.

심근경색과 뇌경색의 사회적 비용인 각각 9,700억원과 1조 1천억원임을 고려하면 상당한 수준이다. 시력 감소로 인한 노동력 저하로 생산성 손실비용도 약 1,300억원에 달하며 전체 사회적 손실비용의 20%를 차지한다.

학회는 2010년 대한의학회가 발표한 노동력 상실률을 인용해 92~96%로 매우 높다고 밝혔다. 관상동맥질환의 경우 45~57%, 두다리의 절단은 67~81%에 이른다. 

학회는 "황반변성 및 여러 안과 질환에서의 시력 상실은 건강장애로 끝나지 않고 노동력 상실로 이어져 사회경제적인 상태를 악화시키는 악순환을 야기한다"며 황반변성을 포함한 실명질환의 예방 및 조기검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아울러 예방 및 조기치료를 위해 저소득층 65세 이상에 대해 연 1회 무료 안과검진을, 그리고 농어촌 등 일차산언 종사자 거주비율이 높은 지역에는 65세 이상에 연 1회 안과검사 무상 지원 등의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성도 제시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