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제공
서울대병원 제공

심장 근육이 굳어지는 심장섬유화를 영상으로 예측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이현정·이승표, 삼성서울병원 박성지 교수 공동연구팀은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의 심장의 섬유화를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측정해 좌심실 이완기능과 예후를 파악할 수 있다고 미국심장학회 발행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Cardiovascular Imaging'에 발표했다.

대동맥판막협착증이 발생하면 심장에 만성적으로 높은 압력이 가해지고 심장근육도 비대해지고 딱딱하게 굳는 섬유화가 진행된다. 이렇게 되면 심장의 이완 기능이 낮아져 결국 심부전이 나타난다. 중증 대동맥판막협착증을 치료하지 않으면 1년 내 사망률이 20%를 넘는다.

이번 연구 대상자는 중증 대동맥판막협착증환자 191명과 일반인 30명. 이들에게 최신 심장 MRI와 초음파로 ECV(extracellular volume index)라는 지표를 이용해 심장 섬유화를 측정했다. 그 결과, ECV가 높을수록 심장의 이완기능이 떨어지고 호흡곤란이 심했다. 5년 간 추적 관찰에서 ECV가 높고 심장의 이완기능이 감소할수록 사망률과 심부전 입원율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ECV는 기존의 대동맥판막협착증의 임상적 예후인자, 좌심실의 수축과 이완기능 지표 외에 예후 정보까지 제시했다. 연구팀은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들의 수술 시기 결정에 중요한 지표를 제시했다는데 이번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현정 교수는 "중증 대동맥판막협착증에서는 판막 상태 뿐 아니라 심근의 상태, 특히 섬유화 평가가 중요하다. 이번 연구를 통해 심장의 섬유화 정도는 심장의 이완 기능과 예후에 깊은 관련이 있음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이승표 교수는 "중증 대동맥판막협착증은 증상이 없어도 심장 손상이 심해지기 전에 수술해야 효과적이라는 것이 최근 연구 결과"라며 "심근의 섬유화 정도는 중증 대동맥판막협착증 환자의 예후를 결정짓는 중요한 인자"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