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을 보거나 독서할 때 목을 숙이게 되는데 이러한 자세에 익숙해지면 점차 이 자세가 고착화돼 걸을 때도 목을 앞으로 쭉 배고 걷게 된다.

이러한 자세는 목 디스크를 유발할 수 있으며, 실제로 목 디스크 환자가 지속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노인성 질환이었던 일자목과 목디스크 등의 환자 비중이 10~30대에서 높아진 것은 물론 40~50대도 급증했다.

목이 뻣뻣하고 통증이 있을 때 목 디스크를 의심할만한 증상으로는 손가락 감각이 둔해져 젓가락질이 힘들거나 글씨 쓰기가 불편해지는 경우다. 

손의 힘이 약해져 들고 있던 물건을 자신도 모르게 떨어뜨리거나 손 감각이 무뎌지고 예민해지는 증상이 있는 경우에도 목디스크를 의심해 볼 수 있다. 

참튼튼병원(대구) 척추외과 정대영 병원장[사진]에 따르면 목 디스크는 경추 뼈 사이에 추간판이 탈출하거나 파열돼 경추 신경을 눌러 목과 어깨, 등, 팔에 통증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뼈 마디에 있는 추간판은 유동성을 가진 핵과 그 외벽은 양파 껍질 모양의 섬유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충격 흡수 기능을 한다.

목의 추간판이 외상을 입거나 노화로 수분이 줄면 탄력 상실과 섬유질 파열로 내부의 수핵이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를 추간판탈출증, 흔히 목 디스크라고 한다. 

목 디스크가 옆으로 삐져나와 경추 신경근을 압박하면 팔과 손에 통증을 일으킨다. 중앙으로 돌출하면 척수를 압박해 다리 감각이 떨어지고 힘이 빠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돌출된 디스크가 신경근과 척수를 동시에 압박하면 팔과 손 등 상지 통증과 다리 및 하지의 근력 약화, 감각 이상이 나타날 수 있다. 

정 원장에 따르면 목 디스크 치료법에는 신경성형술(PEN), 약물치료, 도수치료, 운동치료 등이 있으며 신경성형술은 지름 1mm의 작은 카테터를 넣어 디스크와 붙어있는 신경을 분리시키는 치료법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