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우린의 알츠하이머 치료효과 영상으로 확인
타우린의 알츠하이머 치료효과 영상으로 확인
  • 김준호 기자
  • 승인 2020.09.24 10: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타우린의 신경보호 효과를 영상으로 확인하는데 성공했다.

한국원자력의학원(원장 김미숙)은 오세종·최재용 박사 연구팀이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서 타우린의 효능을 영상으로 진단할 수 있다고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발표했다. 타우린은 어패류에 많이 들어있는 아미노산으로 피로회복제 및 자양강장제의 주성분으로 널리 활용된다.

알츠하이머병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어느정도인지는 영상으로 파악하기 어려웠다. 특히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효능 연구에서는 약물주입 후 행동변화나 사후 조직검사 등 병리변화에 국한돼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신경세포 파괴 단백질인 베타아밀로이드 침착이 뇌신호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를 감소시킨다는 사실에 착안했다. 알츠하이머병 쥐를 대상으로 베타아밀로이드 침착이 시작된지 2개월 후부터 7개월간 타우린(1000mg/kg)을 매일 1회 투여하고 9개월째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으로 글루타메이트를 측정했다.

글루타메이트에 결합하는 방사성의약품을 알츠하이머병 쥐에 주사 후 PET을 시행한 결과, 타우린 투여군은 비투여군 보다 방사성의약품 흡수가 31∼40% 높았으며, 정상쥐보다 3∼14% 낮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타우린이 글루타메이트계를 베타아밀로이드 침착으로부터 보호한다는 사실을 보여준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는 뇌질환 극복 방사선의학 선도기술개발 사업과 한국연구재단의 중견 연구자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았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