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의미한 연명의료을 중단하는 암사망자 26%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원장 한광협, 이하 보의연)은 2018년 1월부터 약 1년간 암 사망 관련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분석한 보고서 '연명의료중단 현황 파악 및 한국형 의사-환자 공유의사결정 모델 탐색'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전체 성인 암 사망자는 총 54,635명이었으며 이 중 14,438명이 연명의료를 결정했다. 10명 중 2.6명이 연명의료를 선택한 셈이다. 연령 별 선택률은 65세 미만에서 34%, 65세 이상 23%였다.

자기결정률은 53%로 가족결정(48%) 보다 높았으며 특히 30~40대에서 가장 뚜렷했다. 또한 암사망자의 호스피스병동 이용률은 자기결정한 경우가 가족결정보다 높았지만(42% 대 14%) 중환자실(13% 대 33%), 응급실(77% 대 82%)은 반대였다.

연명의료계획서 직접 작성률은 비암환자에 비해 암환자에서 높았으며(48% 대 14%), 이는 말기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데다 급격히 상태가 나빠지는 경우 임종기 진입이 빨라져 환자가 직접 의사를 나타내기 어렵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비암환자의 경우 연명의료계획서 보다는 가족진술서나 가족전원합의서 작성이 훨씬 더 많았다. 

의료기관 종별 연명의료결정서 작성률은 상급종합병원이 44%, 종합병원 22%, 병원 2%였다. 요양병원은 0.3%로 매우 낮아  연명의료결정 제도가 윤리위원회 설치 또는 의료진과 환자 교육 등의 문제로 병의원이나 요양병원에서 운영되는 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보고서에서는 연명의료에 대한 공유의사결정의 확대를 위해서 한국형 의사결정 단계인 SEEDS 모델도 제안했다. 동국대 일산병원 신장내과 신성준 교수와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대학교 아니타 호 교수가 공동개발한 SEED 모델을 발전시킨 이 모델은 Seek(준비)-Engage(참여)-Explore(탐색)-Decide(결정)-Support(지지)의 5단계로 이루어진다. 

연구책임자 세종충남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권정혜 교수는 선행연구 보다 연명의료결정률이 낮았다면서 "윤리위원회 운영의 어려움, 연명의료시스템의 접근 문제, 복잡한 서식과 교육 부족 등이 장애요인으로 꼽히는 만큼 제도적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