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항암제가 일부 대장암환자에만 효과적인 이유가 밝혀졌다.

삼성서울병원 조용범(대장항문외과), 박웅양(유전체연구소) 교수팀은 벨기에 루벤대학 사빈 테파 교수와 공동으로 대장암 대한 새로운 면역항암 치료 기전을  규명했다고 네이처 제네틱스(Nature Genetics)에 발표했다.

현재 면역항암제를 적용할 수 있는 전이성대장암은 전체의 약 15%인 고빈도 현미부수체 불안정성 대장암(MSI-H)이다. 나머지는 약물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연구팀은 암의 성장과 전이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암의 미세 환경을 확인하기 위해 전이성대장암의 유전제 정보를 이용해 면역항암제 효과가 없는 이유를 알아보기로 했다.  

연구 대상자는 국내 환자 23명과 벨기에환자 6명에서 얻은 10만여개의 대장암 단일세포 유전체 정보. 분석 결과, 대장암 조직 내에 미세환경을 구성하는 근섬유아세포(myofibroblast)와 골수성세포(myeloid cell)가 면역을 억제하고 형질전환증식인자의 과발현을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TGF-β는 암 세포를 면역세포로부터 보호해 면역항암제 치료 효과를 낮춘다고 알려져 있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로 암세포가 아닌 주변 미세환경세포를 이용하는 치료제 개발이 가능해졌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밀의료사업단의 지원을 받았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