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 속 적혈구의 모양과 크기로 비용부담없이 간편하게 노인 우울증을 예측할 수 있게 됐다.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 초고령사회의료연구소 오대종 교수 연구팀은 염증반응과 혈관기능의 손상이 적혈구 생성에 영향을 주어 뇌에 산소공급을 방해하고 우울증을 유발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JAMDA(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에 발표했다.

노인 우울증은 단순히 기분의 변화가 아니라 삶의 질과 인지기능을 떨어뜨리고 신체질환 악화와 사망률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젊은 사람들과 달리 증상이 분명하지 않은데다 양상도 달라 치료시기를 놓치면서 만성이 되는 경우가 많다.

혈액 속 적혈구는 뇌를 비롯한 다양한 장기에 산소를 공급해주는 세포로, 가운데가 움푹 들어간 특유의 모양과 적절한 크기, 탄력성이 유지될 때 뇌의 모세혈관 깊숙한 곳까지 이동해 산소를 원활히 공급한다.

이번 연구 대상자는 60세 이상 한국인 4,451명. 이들을 일반 혈액검사에서 얻은 적혈구 평균 지표, 즉 크기와 색소량, 농도에 따라 상, 중, 하로 나누고 우울증 진단 위험을 남녀 별로 분석했다.

그 결과, 적혈구 농도의 경우 하위군 대비 상위군에서 남녀 각각 1.95배와 1.5배 높았다. 적혈구 크기 역시 마찬가지로 각각 4.5배, 6.3배 높았다. 

색소량 상위군은 하위군에 비해 4년 이내 우울증 신규 발생률이 각각 1.8배와 2.7배였다. 또한 색소량이 상위군까지 증가하거나 유지되는 경우에는 우울증 위험이 남녀 각각 2.3배와 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 교수는 "이번 연구로 적혈구와 노인우울증의 관련성이 확인됐다"면서 "우울증 유발의 메커니즘과 함께 의료현장에서 혈액검사의 활용법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노년기에는 여러 만성질환이 혈액의 이상을 유발할 수 있는데, 특히 여성은 이러한 혈액 이상이 수년간 축적되면서 뇌기능 저하로 우울증에 걸릴 위험이 높았다"며 "정기검진과 함께 균형잡힌 영양섭취, 운동 등으로 만성질환을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질병관리본부의 지원으로 2009년부터 진행 중인 한국인의 인지노화와 치매에 대한 전향적 연구의 일환으로 시행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