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강남센터 영상진단 인공지능 개발
판독 정확도 내시경전문의 보다 2.9% 높아
도움받은 의료진에서 상승, 초보의사는 12%↑
판독 정확도 내시경전문의 보다 2.9% 높아
도움받은 의료진에서 상승, 초보의사는 12%↑

내시경 사진으로 대장용종을 진단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앞으로는 병리검사의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진은효 교수, 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주성 교수, 의공학과 김희찬 공동연구팀은 내시경 이미지로 대장용종을 가려낼 수 있는 인공지능(AI)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소화기학(Gastroenterology)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대장내시경 이미지 판독시 AI 시스템의 정확도와 함께 의료진 판독시 AI 사용 여부에 따른 정확도를 비교한했다. 그 결과, 훈련된 AI 시스템의 판독 정확도는 86.7%였다.
또한 AI시스템의 도움을 받은 의료진은 그렇지 않은 의료진의 판독 정확도에 비해 높았다. 광학진단 교육을 받은 내시경 전문의의 경우 87.6%에서 90.2%로, 내시경 전문의는 83.8%에서 89%로 각각 2.6%와 5.2% 높아졌다. 특히 내시경 경험이 많지 않은 초보 의사군에서는 73.6%에서 85.6%로 11.8% 차이를 보였다.
진은효 교수는 "AI 기반 진단 보조 시스템은 조만간 내시경 분야의 광범위하게 도입될 것"이라며 "AI를 통한 진단이 판독 정확도에 도움이 되어 실제 임상에서 보조 진단법으로 사용 가능성을 확인한 첫 번째 연구"라고 의미를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