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날 눈이 부시거나 앞이 잘 안보일 경우 포도막염을 의심해봐야 한다.

포도막은 눈에서 빛의 양을 조절하는 홍채와 섬모체, 맥락막으로 이뤄져 있는 부위다. 포도막에 염증이 생기면 망막과 유리체에도 동시에 발생하기 쉽고 염증이 장기화되면 백내장, 유리체 혼탁, 망막이상, 녹내장 등 합병증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건국대병원 안과 이형우 교수[사진]에 따르면 급성 포도막염의 경우 심한 통증과 함께 충혈, 눈부심과 시력 저하가 나타나고 만성이면 통증이 심하지는 않을 수 있지만 불규칙적으로 재발하는 양상을 보일 수 있다.

포도막염은 염증 발생 부위에 따라 앞포도막염, 중간포도막염, 뒤포도막염으로 나뉜다. 앞포도막염은 눈 앞쪽, 홍채 또는 섬모체에 염증이 생긴 경우로, 통증과 충혈, 눈부심, 시력 저하가 급성으로 나타날 수 있다.

중간포도막염은 염증이 유리체 및 망막 주변부에 발생한 경우로, 시력이 떨어지고 눈에 날파리가 날아다니는 듯한 느낌이 있을 수 있는데, 반면 뚜렷한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다. 중간포도막염은 원인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지속되면 백내장, 망막박리, 유리체 출혈 등의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뒤포도막염은 망막, 맥락막, 시신경에 염증이 발생한 경우다. 충혈의 정도나 통증은 다른 포도막염에 비해 덜하지만 시력을 담당하는 망막의 중간 부위(황반)나 시신경의 염증으로 시력 저하가 나타날 수 있고, 재발률도 높다.

이 교수는 "포도막염은 첫 진료에서 원인을 찾기 어려울 때가 많다”며 “대부분 자가 면역반응으로 발생하지만 자가면역병증의 원인이 다양하고, 감염에 의한 경우도 제외해야 해, 검사 결과만으로는 확진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포도막염은 환자의 병력 확인과 함께 시력과 안압, 세극등현미경 검사를 통한 각막과 홍채, 유리체 및 망막 검사, 빛간섭단층 촬영 및 조영제 검사 등의 안과 검사와 가슴 X선 촬영, 혈액검사 등 종합적으로 진단한다.

이형우 교수에 따르면 급성 포도막염 치료에는 스테로이드 점안액과 조절 마비제를 투여한다. 스테로이드는 염증반응 완화, 조절 마비제는 홍채와 수정체의 유착 예방과 통증 완화 기능을 한다.

점안액으로 조절이 되지 않을 경우, 한 쪽 눈에만 염증이 있는 경우에는 스테로이드를 안구에 직접 주사한다. 양 쪽 눈에 염증이 있거나 전신 질환이 동반된 경우에는 스테로이드를 경구 투여한다. 

이형우 교수는 "치료 중 만성화 경과를 보이는 경우, 면역 억제제를 병용하거나 면역억제제 단독 투여 하는 등의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며 "스테로이드와 면역억제제를 전신투여 하면 다양한 기관에서 부작용이 생길 우려가 있어, 주기적인 혈액검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