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근시안(왼쪽)과 정상안의 황반부 망막혈관 비교사진[서울아산병원 제공]
사진. 근시안(왼쪽)과 정상안의 황반부 망막혈관 비교사진[서울아산병원 제공]

멀리있는 물체가 잘 보이지 않는 근시. 정도가 심할 경우에는 고도근시라고 하며 질환으로 분류돼 망막박리나 황반변성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최근 혈관분석에서 근시로 인한 안구길이(수정체에서 망막까지의 거리) 증가가 망막병증의 원인으로 확인됐는데 이는 황반부의 망막 혈관밀도가 감소한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김윤전 교수팀은 고도근시자와 그렇지 않은 사람의 황반부 망막과 맥락막 미세혈관의 특징을 분석해 대한안과학회지(Korean Journal of Ophthalmology)에 발표했다.

연구 대상자는 고도근시자 52명과 그렇지 않은 52명. 빛간섭단층촬영 혈관조영술(OCTA)을 이용해 눈의 혈관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정상적으로 혈관이 존재하지 않는 중심와무혈관의 평균 영역이 근시안에서 더 넓고(0.39±1.3㎟ 대 0.31±1.0㎟), 둘레도 길었다. 

그 결과, 정상적으로 혈관이 존재하지 않는 중심와무혈관의 평균 영역이 근시안에서 더 넓고(0.39±1.3㎟ 대 0.31±1.0㎟), 둘레도 길었다. 또한 황반 중심와주변부의 망막 표층 모세혈관망의 혈관밀도 역시 근시안에서 낮았다(52.7% 대 54.8%).

교수팀은 "근시안에서 초점이 맺히는 황반 부위의 혈관밀도 감소와 무혈관영역의 변화는 안구길이 증가와 비례했다"면서 "이는 근시안에서 나타나는 혈관밀도의 감소가 결국 안구길이 증가에 따라 기계적으로 당겨짐으로써 발생하고 근시성 황반변화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김윤전 교수는 "근시 정도가 심할수록 그리고 안구의 크기가 크고 망막조직이 얇을수록 중심부 혈관변화 및 주변부 망막변성을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다"며 "고도근시 환자의 경우 정기적인 안저검사를 통해 이러한 변화가 진행하는지를 정기적으로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