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를 하루 3잔 이상 장기간 마신 여성은 뇌졸중과 치매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 연구팀이 고령자의 누적 커피 소비량과 뇌백질 고강도 신호의 관련성을 분석해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발표했다.

커피 속 카페인 성분은 많이 섭취할 경우 뇌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커피를 오래기간 많이 마시면 뇌혈류량이 줄고 혈압이 높아지고 동맥이 경직된다고 보고됐다.

뇌혈류량이 부족하면 자기공명영상(MRI)에서 뇌백질에 이상이 나타나는데 이를 뇌백질 고강도신호라고 한다. 주로 고령자에서 발생하며 뇌졸중과 인지기능 저하 위험을 높이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이번 연구대상자는 60세 이상 492명. 이들을 비섭취군과 하루 2잔 이하군, 2잔 초과군으로 나누고 뇌백질 고강도신호를 비교했다. 하루 평균 커피량에 마신 기간을 곱해 평생 마신 커피량을 산출했다.

그 결과, 하루 2잔 초과군은 이 보다 적게 마신군에 비해 뇌백질 고강도신호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비섭취군과 2잔 이하군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특히 이러한 관련성은 여성에서만 나타나고 남성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커피를 장기간 마시면 뇌백질 고강도 신호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제시한 것"이라면서 "카페인 장기간 섭취는 뇌 관류 감소, 혈압 및 동맥경직도 증가로 인해 노년기에 뇌백질 고강도신호 용적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그러나 다만 커피의 어떤 성분이 뇌백질 고강도신호를 증가시키는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남성보다 여성에서 관련성이 높은 이유에 대해서는 "여성이 상대적으로 카페인 민감도가 높고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라디올의 영향으로 카페인 분해 속도가 느리기 때문일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려면 인종와 대상자수가 많아야하지만 커피 소비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올바른 커피 섭취에 대한 인식을 재정립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건강한 성인의 하루 커피 섭취 권장량은 카페인 300~400mg에 해당하는 3잔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