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의 억제 정책은 성공했지만 향후 지속 여부를 선택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 오명돈 위원장은 23일 기자회견에서 우리나라의 코로나19의 방역정책은 성공했다는 평가를 내리면서 "향후 이러한 정책을 지속할지 완화할지를 결정해야 할 시기"라고 말했다.

오 위원장은 "유행 커브를 펑퍼짐하게 하고 길게 만드는 목적은 대량 환자 발생을 막아 의료시스템이 감당할 정도로 환자가 생기게하거나 치료제와 백신을 개발할 시간을 버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방어를 늦출 경우 언제든 스프링처럼 튀어나오듯이 가을이나 겨울에 재유행할 수 있다. 오 위원장에 따르면 스페인 독감의 경우 1차 보다2차 유행에서 5배 높았다.

오 위원장은 그러나 현재의 방역정책은 역량을 집중한 결과인데다 이를 백신이나 치료제가 나올 때까지 지속하려면 적어도 1년 이상이 걸리는 만큼 의료자원의 한계와 사회적 현상을 고려해 결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코로나 전파 억제정책의 한계점으로 무리면역(herd immunity)라는 개념도 제시했다. 일정수준 이상의 면역자가 있어야 안정되며 면역없는 사람이 많을 경우 억제를 완화하면 재유행한다는 것이다.

한편 위원회는 중앙감염병병원의 신속한 설치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국립중앙의료원 정기현 원장은 코로나19의 팬데믹으로 경제, 사회적 격변으로 이어지고 향후 진행상황 예측도 어려운 만큼 중앙감염병병원 설치를 코로나19 종식 이후 장기과제로 미뤄선 안된다고 밝혔다.

정 원장은 "국립중앙의료원은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면서 중앙감염병병원의 기능과 역할을 임시 방변으로 수행하고 있다"면서 "이제는 감염병 대응역량을 정상화, 기관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