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한 사람은 심장벽이 두꺼워지는 비후성 심근증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비후성 심근증이란 특별한 원인 없이 좌심실 벽이 두꺼워지는 심장질환으로 대동맥판막협착증, 고혈압, 심부전이 발생한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김형관, 박준빈 교수는 비후성 심근증의 위험인자가 비만이라는 사실을 유럽 예방심장학회지 (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 대상자는 건강보험 건강검진자 2,800명(2009~2014년). 이들을 동양인 체질량지수(BMI) 기준에 따라 저체중(118명), 표준체중(1,782명), 과체중(2,029명), 경도비만(3,435명), 중등도비만 이상(487명)으로 나누고 비후성 심근증 발생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표준체중 대비 과체중, 경도비만, 중등도비만 이상군의 비후성 심근증 발생 위험은 각각 약 1.5배, 2.2배, 2.9배 높았다[]. 체질량지수와 발생 위험은 비례했으며 체질량지수가 1이 증가할 때마다 발생 위험은 11%씩 증가했다. 

이러한 경향은 복부미만의 척도인 허리둘레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허리둘레가 90cm(여성 85cm) 이상인 4,848명은 그렇지 않은 3,003명에 비해 비후성 심근증 발현 위험이 1.7배 높았다.

당뇨병, 이상지혈증, 고혈압 등의 대사이상도 비후성 심근증 발현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체질량지수가 같아도 대사이상을 갖고 있으면 비후성 심근증 발현 위험이 더 높았다. 

연구팀은 "단순히 심근이 두꺼워지는 심근비후는 고혈압이나 대동맥판막 협착증 환자에게서도 종종 관찰된다. 해당 원인을 잘 관리하거나 치료하면 심근비후는 호전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비후성 심근증은 심근비후 발현 과정에 결정적인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 유전적 이상도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

교수팀은 "이번 연구는 비만, 대사이상이 다른 심혈관질환들 처럼 비후성 심근증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고한 것"이라며 "비만과 대사이상을 조절해 심근증 발현 위험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진료방식도 치료가 아닌 예방으로 전환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